‘ 가짜뉴스’ 홍수에 병든 사회

 

흉악범죄·사실 왜곡 등 악의적 뉴스... 온·오프라인서 불특정 다수 유포
이념·세대·성별 사회 갈등 부채질... 거짓 구별 기준없어 통계자료도 無
“고의성 명예훼손 등 법 잣대 세워야”


‘터미널 흉기 난동 사건으로 시민 수십명이 다쳤다’,
‘우리 지역 학력이 전국 꼴찌다’ 등 경기·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한 ‘
가짜뉴스’가 최근에도 온라인에서 퍼지고 있다.
실제 사실이 아닌 거짓 정보,
특정 의도를 가지고 조작된 허위 정보인 ‘가짜 뉴스(Fake news)’는 공동체를 갈라놓고 병들게 하는 주범이다.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진짜 뉴스’를 가려낼 기술적·인식적 대안이 요구된다.
편집자주


해당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1. 서울 신림과 성남 등 지역에서 강력 범죄가 잇따라 발생한 뒤인 8월4일,
포천시 내손면 종합버스터미널에서 흉기 난동 및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는 소문이 퍼졌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시작된 이 얘기는 만취한 40대 남성이 벌인 일로,
무고한 시민 36명이 피해를 입었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포천엔 ‘내손면’이 없다.
경찰과 소방당국 역시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다.

#2. 최근 여러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속에서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의 한 아파트 사진이 떠돌았다.
폴리스 라인 주변에 널브러진 담요가 찍힌 모습으로 ‘인천 칼부림’,
‘인천 살인’ 등 해시태그가 함께 붙은 사진이었다.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
70대 여성이 아파트 베란다에서 추락해 숨진 사건으로 ‘범죄’와는 관련이 없는 일이었다.

각종 온라인 플랫폼에서 쏟아지는
가짜뉴스로 이념·세대·성별 등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특정 장소,
시간,
대상에만 머물지 않고 불규칙하게 유포되는 특징 탓에 문제의 근원지를 찾기도 힘든 실정이다.

18일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의
가짜뉴스는 ‘정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언론 보도의 형식을 하고 유포된 거짓 정보’로 정의된다.

하지만 무엇이
가짜뉴스고,
이러한
가짜뉴스가 얼마나 생산되는지 등은 명확히 추려낼 수 없다.
현실적으로
가짜뉴스를 분별할 기준이 없다보니 관련 통계나 자료 등도 부재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악의적인 의도로 생산된
가짜뉴스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우려되는 대목이기도 하지만 통상 선거철이 다가오면
가짜뉴스가 성행하는 경향이 있다.
이 같은 악의적
가짜뉴스는 개인이나 기업,
크게는 사회 전반에도 폐해를 미친다.

대표적인 피해 사례 중 하나가 ‘인천 혐오’다.
 SNS
가짜뉴스 등을 통해 장기간 도시 브랜드가 부정적으로 입혀지면서 ‘마계 인천’ 등의 오명이 씌워졌다.
지난 2021년 검찰청 통계에 따르면 인천의 ‘인구 10만명당 강력범죄 발생률’은 전국 16개 광역 지자체 중 9위,
‘경찰서 1곳당 강력범죄가 발생하는 건수’는 5위지만
가짜뉴스상으로는 1~2위 선에 든다.

이처럼
가짜뉴스가 사회를 가르고 병들게 하자 학계에 법적·사회적 해결책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김상훈 인하대 언론홍보학과 교수는 “
가짜뉴스를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면 법적인 잣대를 제대로 세워야 한다”며 “고의성에 의한 명예훼손 등으로 과감하게 손해배상을 물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진짜·가짜 구분 어려워”... 국민 66% 허위정보 걱정 [무너지는 사회,
공동체 회복]

 

2018년 첫 조사 후 가장 높은 수치... 60대>50대>20대>40대順 우려↑
2명 중 1명 유튜브로 뉴스 접해... 전문가 “무분별 확산,
정부차원서 제도적 방안 찾아야”


자료:한국언론진흥재단·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온라인 설문조사(2023년1월10일∼2월20일)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2명은
가짜뉴스 등을 포함한 온라인 허위정보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이 ‘정치’와 관련된 분야에서의
가짜뉴스를 걱정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18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하 재단)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 2016년부터 ‘디지털 뉴스 이용과 인식 등에 대한 조사’를 참여해 왔다.
이 조사는 재단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부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국제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해외와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디지털 뉴스 인식 등은 어떠한지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가장 최근 진행된 조사는 올 1월10일부터 2월20일까지(우리나라의 경우 1월13일부터 2월8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이뤄졌다.
결과는 지난 6월14일자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3’으로 발표됐다.

자료:한국언론진흥재단·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온라인 설문조사(2023년1월10일∼2월20일)

이 리포트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2명(66%)은 인터넷에서 접하는 정보의 진위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해당 문항을 처음 조사한 2018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로,
지난해(60%)보다도 6%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대체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허위정보를 우려하는 편이었다.
구체적으로 60대 이상이 73%로 가장 높았고 50대가 69%,
40대가 63%,
30대가 58%였다.
단,
20대 응답자(65%)는 40대보다도 더 많이 ‘
가짜뉴스’를 우려하고 있었다.

정치 성향으로 봤을 땐,
중도(65%)나 보수(71%)보다는 진보(77%) 측이 온라인 허위정보를 우려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자료:한국언론진흥재단·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온라인 설문조사(2023년1월10일∼2월20일)
응답자 상당수는 정치 주제(40%)의 허위정보를 가장 많이 접했다고 밝혔다.
이는 경제·생활비나 코로나19(각 21%),
기후변화·환경(11%) 등과 비교해도 2~4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반면
가짜뉴스를 한 번도 접한 적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도 18%에 달했다.

이와 함께 국민 둘 중 하나는 ‘유튜브’로 뉴스를 본다고 답했다.

재단의 조사에서 한국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뉴스 검색,
읽기,
보기,
공유,
토론 등을 위한 플랫폼으로 유튜브를 꼽았다.
이 역시 지난해에 비해 9%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46개국 평균(30%)보다도 23%포인트나 높은 수치다.
뒤이어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이 차지했다.

재단은 “전반적으로 언론사들이 유튜브를 통한 뉴스 유통 전략을 강화해 다양한 유형의 뉴스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튜브 뉴스 채널의 수가 이전에 비해 상당히 늘었기 때문에 이용자들 역시 이전에 비해 더 많이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를 뒤집어 말하면 유튜브 등의 플랫폼 확장과 이용자 확대로
가짜뉴스 역시 확산되기가 한층 쉬워졌다고 볼 수 있다.

김창남 경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는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확산 등으로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가 무분별하게 퍼지고 있어 개인과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고 있다”며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뉴스 생산자,
이용자,
매개자 등의 공동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장치와 신속한 차단 방법을 마련하고,
정부 차원에서도
가짜뉴스가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제도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쓰기

Welcome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