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하루 2~3잔의 커피가 심장 질환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는 잘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설탕 넣은 달달한 커피를 즐기는 사람의 경우
어떨까? 이 궁금증을 풀어줄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광저우 남방의과대학 연구진은 최근 설탕 커피와 무설탕 커피를 마신 사람들을 각각의 집단으로 나눠 비교한 연구를 진행하고, 적정량의
커피가 설탕 첨가에 상관없이 암이나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 등 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더 자세히 보면, 하루에 무설탕 커피 2.5~4.5잔을 마신 사람의 조기 사망률은 커피를 마시지 않은 사람에 비해 최대 29% 낮았다.
설탕을
넣은 경우라도 하루 1.5~3.5잔을 마신 사람의 사망 위험률이 마시지 않은 사람보다 최대 3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스턴트커피나 분쇄커피, 디카페인 커피를 마신 사람이라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다.
31일(현지 시간)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연구진은 영국 바이오뱅크에서 제공받은 17만1000여명의 자료와 이들의 커피 소비 습관을 조사했다.
평균 연령 55.6세로 참가자 모두 연구 초기 암이나 심장질환은 없는 상태였다.
연구는 이들 중 2009년부터 7년 동안 세상을 떠난 3177명의 사망진단서를 추적·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다만 커피 소비 습관 변화, 식이요법 통제 불가, 설탕 첨가량 등에 대한 한계점도 존재한다.
참가자들은 관련 설문에 한 차례만 응답했고
설탕을 넣어 마신 참가자 대다수가 한 스푼을 섭취했다.
이보다 설탕 함유량이 높은 커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동일한지는 불분명 한 것이다.
연구진은 “커피를 마시면 사망 위험이 낮아진다고 확실하게 결론 내릴 수는 없지만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건, 약간의 설탕이 들어간 커피를
마시는 것이 큰 해를 끼치진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앞서 지난 4월 호주 연구진도 커피가 새로운 심장병이나 기존 심장 질환을 악화시키는 데 관련이 없고 오히려 심장 보호 효과를 부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하루 커피 섭취량이 한 잔에서 여섯 잔인 50만 명을 10년 이상 추적했으며, 심장 질환이 없는 사람과 있는 사람을 나눠 조사했다.
그 결과 하루에 2~3잔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관상동맥 심장병, 심부전, 심장 박동 문제 등의 이유로 사망할
위험이 10~15% 낮다고 나왔다.
뇌졸중과 심장 관련 사망 위험률의 경우 하루 1잔을 마시는 사람들이 가장 낮았다.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더라도 하루 2~3잔의 커피를 마셨을 때 마시지 않는 것에 비해 사망 확률이 약 20% 낮았다.
또 연구진은 커피를
많이 마시는 게 부정맥 등 심장 박동 문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했다.
커피 종류가 바뀌어도 결과는 같았으나, 디카페인은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보다 부정맥과 심부전 예방 효과가 다소 낮았다.
커피 한잔에 두근대는 심장… 측정해보니 나온 의외의 결과
/뉴스1
커피를 마셨을 때 유독 심장이 더 두근거린다는 느낌을 받는 사람들이 있지만, 실제로는 커피가 심장 수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각) 헬스데이뉴스 등 의학 전문 외신에 따르면,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 의대 심장 전문의인 그레고리 마커스 교수 연구팀은 커피 섭취와 조기 심방 수축(PAC) 간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를 의학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최신호에 발표했다.
PAC란 심장 윗부분인 심방에서 일어나는 조기 박동에 의한 불규칙한 심장 리듬을 말한다.
심방에서 예상 박동 형성 시점보다 일찍 전기를 만들어 박동을 일으키는 경우로, 다소 불안한 느낌이 들 수 있지만 건강한 심장이라면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사람에 따라 심박동 하나를 건너뛰거나 추가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다만 나이가 많은 노인에게 PAC가 잦으면 부정맥 질환인 심방세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연구 대상은 평균적으로 하루 한 잔 정도의 커피를 마시는 건강한 성인 100명이었다.
연구팀은 2주 동안 이들에게 어떤 날은 카페인 커피 마시게 하고, 또 어떤 날은 아예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도록 했다.
그리고
늘 심전도 패치를 부착하게 해 심장 활동을 기록할 수 있게 했다.
결과는 뜻밖이었다.
카페인 커피를 마신 날의 조기 심박동 수축 횟수는 58회였는데, 카페인을 전혀 섭취하지 않은 날 역시 53회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다만 조기 심실 수축(PVC) 횟수를 확인했을 때는 각각 154회,
102회로 차이가 발생했다.
PVC는 심장 아랫부분인 심실이 조기 수축하는 것으로, 빈도가 잦으면 심부전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이를 두고 콜로라도대학 의대 심장 전문의 데이비드 카오 교수는 “하루 심장 박동 횟수가 약 10만 번임을 감안할 때, 카페인 커피를 마신 날의 PVC 횟수는 하루 전체 심박수의 0.15%이고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은 날은 0.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또 연구팀은 “커피를 마신 후 느껴지는 심장 박동 변화가 신경 쓰인다면, 커피를 절제했을 때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진하게 뽑은 에스프레소 한잔, 치매 막는다?… 연구 결과 봤더니
진한 에스프레소 커피 한잔이 타우단백질 응집을 막아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현지시각) 외신에 따르면 이탈리아 베로나 대학 연구팀은 이날 미국 화학회(ACS) 학술지 ‘농업 및 식품 화학 저널’(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을 통해, 에스프레소 화합물이 타우단백질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는 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타우단백질은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의 핵심 원인으로 꼽히는 물질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뇌 구조 안정에 도움을 주지만 서로 뭉쳐 응집체가 되면 신경독성을 띠면서 알츠하이머 발병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프레소는 곱게 갈아 압축한 원두 가루에 뜨거운 물을 고압으로 통과시켜 뽑아낸 음료로 진한 맛과 향이 특징인 이탈리아식 커피다.
보통 한 번에 25~30㎖ 정도의 적은 양 나온다.
여기에 물이나 우유를 섞으면 우리가
평소 즐겨 마시는 아메리카노와 카페라테가 된다.
연구팀은 시판되는 원두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핵자기공명(NMR) 분광법으로 성분 분석에 나섰다.
이어 카페인·트리고넬린·제니스테인·테오브로민 등 화합물들의 작용을 조사하며, 각 분자와 에스프레소
추출물을 짧은 형태의 타우단백질과 섞어 최대 40시간 동안 배양했다.
그 결과 에스프레소 추출물과 일부 화합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타우단백질이 뭉치면서 생기는 원섬유 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큰 덩어리 역시 만들어지지 않았다.
또 이때 만들어진 원섬유는 세포 독성이
없었고 추가 응집을 일으키는 ‘씨앗’ 역할도 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가 알츠하이머 등 신경 퇴행성 질환에 대한 다른 생리활성 화합물을 찾거나 설계하는 길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만 에스프레소의 실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생체 실험 등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밤에 커피 마시면 잠 못 잔단 속설, 이런 사람에겐 반대였다
/연합뉴스
모두가 한 번쯤 들어본 ‘밤에 커피를 마시면 잠을 못 잔다’는 유명 속설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년 여성의 경우 수면 장애나
수면 부족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아 오히려 반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2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 건강과학과 마그릿 올토프 교수팀은 노년층의 커피 섭취와
수면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지 ‘뉴트리언츠’(Nutrients) 최신호에 발표했다.
61세에서 101세까지의 노인 1256명(남 587명·여 669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다.
참여자 중 남성의 수면 부족(하루 수면 7시간 미만) 비율은 17%로 여성(26.3%)보다 적었다.
수면 유지에 어려움을 겪거나 아침에 너무
일찍 깨는 등의 수면 장애를 경험한 비율은 여성(43.4%)이 남성(25.7%)보다 높았다.
하루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남성(286㎎)이 여성(244㎎)보다 많았다.
연구 결과 카페인을 멀리한 노년 여성은 카페인을 즐기는 사람보다 수면 장애를 더 많이 경험했다.
수면 부족 위험도 2.3배 더 높았다.
노년 남성도 카페인을 섭취한 경우 수면 장애와 수면 부족 경험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동안 카페인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돼 왔다.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병 위험을 감소시키는 등 카페인 섭취의 이로움을 확인한
연구도 많다.
또 커피에는 카페인을 비롯한 다양한 항산화 성분이 많아 알츠하이머·파킨슨·비만·우울증·만성 간 질환·심부전 발병 위험을 낮춰준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하지만 카페인은 수면 조절을 담당하는 호르몬 ‘멜라토닌’(melatonin) 분비를 줄여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때문에 잠에 들기 약
6시간 전부터는 카페인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권고하고 있다.
이 가운데 노년층의 카페인 섭취와 수면 건강 사이의 관계를 추적한 연구는 이번이 거의 처음이다.
연구팀은 “카페인 민감도는 개인
간 상당한 차이가 있고 유전적 요인도 관여할 수 있다”며 “카페인 섭취를 피한 노년 여성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면 장애를 경험한다는 것이 우리의 결론”이라고 했다.
하루 커피 5잔 vs 한 잔… 인지 기능 비교해 봤더니
심방세동 환자 2400여 명 대상으로 진행
/뉴스1
심방세동 환자에게 하루 5잔 이상의 커피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방세동은 심방에서 발생하는 빠른맥 형태로
불규칙한 맥박을 일으키는 부정맥 질환이다.
인지 기능을 떨어뜨리는 위험 요인인데, 커피가 인지 기능 저하를 막아준다는 것이 연구 핵심이다.
스위스 취리히대 연구팀은 19일(현지시각) 미국 심장협회저널(JAHA)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연구는 스위스 심방세동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2413명(평균연령 73세)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이들의 과거 1년간 하루 커피 섭취량을 조사했다.
이어 최소 8년간 뇌졸중·혈액 염증 지표·혈액 응고·뇌 영상·인지 테스트 등을 실시했다.
여기에서 커피는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만을 집계했다.
그 결과 커피를 하루 5잔 이상 마시는 사람들의 인지 테스트 점수가 커피를 마시지 않거나 하루 한 잔 미만으로 마신 사람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커피 섭취량이 많은 사람은 과제 처리 속도·시각 운동 조정·주의력 점수가 11% 더 높았고 인지 연령도 6.7년 더 젊었다.
혈액 염증 지표도 매일 한 잔 미만을 마신 사람과 비교했을 때 20%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주도한 위르그 비어 교수는 “커피와 여러 정교한 인지 테스트 사이에는 많이 마실수록 점수가 높아지는 ‘용량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이 연관성은 나이·성별·체질량 지수(BMI)·흡연·뇌졸중 병력 등을 고려한 후에도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결과는 카페인·마그네슘·비타민 B3(니아신) 등의 활성 성분 때문일 수 있고, 염증 유발 화학물질을 줄이는 커피의 효과 때문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관찰 연구인 이번 연구로 커피가 실제 장기적인 인지 기능 저하 예방 효과를 보인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
미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 호세 조글라 교수는 “커피의 전반적인 인지 기능 향상 효과는 다른 연구에서도 밝혀졌다”며 “심방세동 환자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커피가 심방세동을 악화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커피를 끊을 필요는 없지만, 커피를 마시기 시작한다고 해서 심방세동을
예방하거나 장기적인 인지 기능 저하를 막을 수 있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 식단 가이드라인은 하루 3잔에서 5잔의 블랙커피는 건강한 식단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심장협회(AHA)는
라테와 마키아토 같은 커피 음료의 경우 열량이 높고 설탕과 지방이 첨가된 경우가 많아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모닝커피는 약이다?… 심혈관 질환 사망률 비교해 봤더니
"아침에 마시는 커피가 건강 효과 가장 커"
/뉴스1
아침에 마시는 커피가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을 30% 이상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툴레인대 연구팀은 커피를 마시는 시간대와 심혈관 질환 및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 간 관계를 추적 관찰한 결과를 8일 유럽심장학회(ESC)
학술지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을 통해 발표했다.
아침에 마시는 ‘모닝커피’의 심장 보호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연구팀은 1999년부터 2018년까지 미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에 참여한 성인 4만725명을 대상으로 커피를 마시는지, 마신다면 언제 얼마나
마시는지 등을 조사했다.
이어 이 자료를 9.8년간의 사망 기록과 비교해 분석했다.
참여자들 비율은 오전에 커피를 마시는 A그룹이 36%, 온종일 커피를 마시는 B그룹이 16%, 커피를 아예 마시지 않는 C그룹이 48%였다.
추적 관찰 기간 사망자는 4295명이었으며 그중 심혈관 질환 사망자가 1268명, 암 사망자가 934명으로 집계됐다.
분석 결과 A그룹은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C그룹보다 무려 31% 낮았고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도 1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A그룹 내 마시는 커피양을 봤을 때, 사망 위험 감소 폭은 3잔 이상인 사람이 한 잔 이하인 사람보다 컸다.
단 B그룹과 C그룹 사이에선 사망 위험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를 이끈 루 치 교수는 “이 연구는 모닝커피가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을 낮추는 이유는 알려주지 않는다”면서도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오후나 저녁에 마시는 커피가 생체리듬과 멜라토닌 같은 호르몬에 영향을 주고 이게 염증과 혈압 같은 심혈관 위험 요소의 변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라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결과는 모닝커피가 늦은 시간에 마시는 커피보다 심혈관 건강에 유익하고 사망 위험도 낮춰준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다만
정확한 검증을 위해 다른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추가 임상 시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루 적정량의 커피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고 수명 연장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는 앞서 나온 바 있다.
호주 연구진은 하루 커피
섭취량이 한 잔에서 6잔인 50만 명을 10년 이상 추적해, 커피가 새로운 심장병이나 기존 심장 질환을 악화시키는 데 관련이 없고 오히려 심장 보호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었다.
이에 따르면 하루 2~3잔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관상동맥 심장병, 심부전, 심장 박동 문제 등의 이유로
사망할 위험이 10~15% 낮았다.
이미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더라도 하루 2~3잔의 커피를 마셨을 때 마시지 않는 것에 비해 사망 확률이 약 2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