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 후렴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가사에 나오는 무궁화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꽃입니다. 하지만 산림청이 만 20세 이상 70세 미만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2022년 무궁화 국민인식도 조사’에서 무궁화는 ‘꽃나무 선호도’ 8위(5.7%)에 그쳤어요. 1위 벚나무(18.1%)와 2위 장미(11%), 3위 라일락(10%) 등보다 선호도가 낮은 데다 ‘나라꽃(무궁화) 유래·역사에 대한 인지도’에선 응답자 41.8%가 ‘모른다’고 답했죠. 다만 ‘무궁화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78.7%로 높았는데요. 안수민·오수아 학생기자가 무궁화는 어떤 꽃인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여주시에 있는 콜마 무궁화 역사문화관을 찾았습니다.
콜마 무궁화 역사문화관 건물 뒤뜰에 심어진 무궁화 묘목을 구경하는 소중 학생기자단.
한국콜마 여주아카데미 전상훈 실장은 “옛날에는 동네 곳곳에 무궁화가 많았어요. 요즘엔 무궁화를 쉽게 볼 수 없는데요. 무궁화에 대해 널리 알리기 위해 2022년, 한국콜마가 콜마 무궁화 역사문화관을 개관했어요. 전시 이외에도 건물 뒤뜰에 총 67종의 무궁화 묘목 4000~5000그루를 재배해 방문객은 자유롭게 무궁화를 구경할 수 있죠. 앞으로 사람들에게 무궁화 묘목을 분양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에요”라고 말했어요.
수아 학생기자가 “무궁화는 어디서 자라나요?”라고 물었어요. “무궁화는 원산지가 인도 북부에서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까지 이르는 동북아시아 지역으로 알려져 있고, 온대에서 아열대 북부까지 재배지가 널리 분포돼 있죠. 전 세계 200~300개 품종이 있어요. 기원전 8~1세기 중국과 그 주변 국가들의 신화·지리·문화 등이 수록된 중국 고서 『산해경』에 ‘군자국재기북(君子國在其北) 유훈화초(有薰花草) 조생석사(朝生夕死)’(군자국이 북쪽에 있다. 그곳에 훈화초가 있는데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진다)라는 글이 있어요. 군자국은 '고조선', 훈화초는 '무궁화'를 뜻해요. 이를 통해 고조선, 또는 그 이전부터 무궁화가 한반도에 자생했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죠.”
1890년 우리나라 각종 제도와 문물을 사전적으로 소개한 『동고』에 『산해경』과 훈화초(무궁화)에 대한 내용(노란색 부분)이 적혀있다.
수민 학생기자가 “무궁화 생김새와 색깔이 다양한데 구분하는 기준이 있나요?”라고 질문했어요. “꽃 색깔에 따라 중심부에 단심(丹心·붉은 무늬)이 없는 순백색의 ‘배달계’와 단심이 있는 ‘단심계’, 흰색이나 연한 분홍색 꽃잎 가장자리에 붉은 무늬가 있는 ‘아사달계’로 구분할 수 있어요. 단심계는 꽃잎 색깔에 따라 백단심계·자단심계·적단심계·청단심계로 나뉘죠. 꽃잎 모양에 따라서도 5장의 기본 꽃잎에 완전한 형태의 암술·수술을 갖춘 ‘홑꽃’, 수술 일부가 속꽃잎으로 발달한 ‘반겹꽃’, 암술·수술 모두 속꽃잎으로 발달한 ‘겹꽃’으로 구분돼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무궁화는 백단심계·자단심계 홑꽃이에요.”
무궁화는 7월 초부터 짧게는 9월 말, 길게는 10월 초·중순까지 꽃을 피워요. 약 100일 동안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이 되면 지고, 다음 날 다시 피는 것을 반복하죠. 무궁화 한 송이 수명은 보통 12~15시간이며 하루에 적게는 20여 송이, 많게는 50여 송이 피워요. “꽃이 계속 피고 지고를 반복하는 무궁무진(無窮無盡)한 꽃이어서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 지지 않는 꽃’이라는 뜻의 무궁화(無窮花)라는 이름이 붙여졌어요. 꽃말도 ‘일편단심’ ‘끈기’ ‘섬세한 아름다움’ 등으로 무궁화의 특성을 반영하죠. 한자로는 ‘무궁화나무 근(槿)’ 자를 쓴 근화(槿花)·근화향(槿花鄕)과 친(藽)·순(舜)·일급(日及)·조균(朝菌) 등이라고 썼고, 중국에선 목근(木槿)·조근(朝槿) 등으로 불러요.”
① 꽃 색깔에 의한 구분배달계: 중심부에 단심(丹心·붉은 무늬)이 없는 순백색 꽃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백단심계 품종 ‘단심’, 자단심계 품종 ‘계월향’, 적단심계 품종 ‘송암’, 청단심계 품종 ‘파랑새’
단심계: 중심부에 단심이 있는 꽃
– 백단심계: 백색 계통 꽃잎에 단심이 있는 꽃
– 자단심계: 자색 계통 꽃잎에 단심이 있는 꽃
– 적단심계: 적색 계통 꽃잎에 단심이 있는 꽃
– 청단심계: 청색 계통 꽃잎에 단심이 있는 꽃
아사달계: 흰색이나 연한 분홍색 꽃잎 가장자리에 붉은색 무늬가 있는 꽃
② 꽃잎 모양에 의한 구분
홑꽃: 5장의 기본 꽃잎에 완전한 형태의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 꽃
반겹꽃: 수술 일부가 변해 속꽃잎으로 발달한 꽃
겹꽃: 암술과 수술 모두 속꽃잎으로 발달한 꽃
1980~90년대 중학교 도덕 교과서 표지(왼쪽 사진)의 무궁화 사진과 우정사업본부에서 발행한 무궁화 우표.
소중 학생기자단은 고조선 때부터 현재까지 우리 민족과 함께한 무궁화의 역사가 전시된 1층 전시관으로 향했어요. 전 실장이 『산해경』 내용을 다시 한 번 설명한 뒤 통일신라시대 학자 최치원(857~?)의 이야기를 꺼냈죠. “최치원은 897년 효공왕을 대신해 당나라에 공식 외교 문서 『사불허북국거상표』를 보내며 통일신라를 ‘무궁화 나라’라는 뜻의 '근화향'이라고 표현했어요. 또한 당나라의 사서 『구당서』 199권 『신라전』에도 신라를 근화향으로 부른 기록이 있죠.” ‘무궁화’라는 이름은 고려 후기부터 등장합니다. 고려 후기 문인 이규보(1169~1241)가 1241년 쓴 『동국이상국전집』 제14권 ‘고율시(古律詩)’에 ‘문 장로와 박환고가 무궁화를 논평하면서 지은 시운을 차하다’라는 긴 제목의 시가 나와요. 이는 이규보가 친구들과 함께 무궁화의 어원이 무엇인지 토론하는 장면을 시로 풀어낸 것이죠.
조선시대 실학서적에도 무궁화 관련 기록이 있어요. 『산림경제』 『본초강목』 『화암수록』 『동의보감』 등에 초가집 울타리에 무궁화를 재배하는 방법, 무궁화 약초 효능 등 실용적인 정보가 담겼죠. 또한 민간 기록과 왕명 출납을 관장하던 승정원에서 기록한 『승정원일기』와 외교 문서를 집대성한 『동문휘고』에도 ‘무궁화 나라’를 뜻하는 ‘근화지향(槿花之鄕)’ ‘근향(槿鄕)’ ‘근역(槿域)’ 등의 표현이 자주 나옵니다. “대한제국은 국제사회에 자주국으로서 면모를 과시하기 위해 서구식 군복·훈장·주화 등 국가 상징물에 무궁화 문양을 최초로 사용했어요. 1892년 발행된 5냥 주화에는 조선 왕들의 성인 이(李·오얏나무 이)씨를 상징한 오얏꽃과 함께 무궁화 가지를 새겼죠.”
전상훈(맨 오른쪽) 실장은 “사람들이 우리 민족의 정신이 담긴 ‘나라꽃’ 무궁화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일제강점기, 일본은 민족말살정책 일환으로 조상들이 오랫동안 사랑하고 지켜온 무궁화를 탄압했어요. 수아 학생기자가 일제의 무궁화 탄압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궁금해했죠. “무궁화가 주변에서 보이지 않게 뽑고 불태웠고, ‘진딧물이 많이 끼고 해충이 많은 지저분한 나무’ ‘꽃가루가 살갗에 닿으면 부스럼이 생긴다’며 왜곡했어요. 1935년 조선총독부가 만든 『고등경찰용어사전』에는 ‘무궁화 강산’ ‘근화’ ‘근역’ 등에 불온한 뜻이 담겼다고 기록됐죠. 동아일보는 한반도 위에 무궁화가 그려진 제호를 사용했는데 1938년부터 제호의 무궁화 도안이 강제 삭제되기도 했어요.”
재미 한인 독립운동단체 대한인국민회가 발행한 독립의연금 영수증. 테두리에 무궁화 무늬와 태극기가 함께 그려져 있다.
하지만 무궁화를 지키려는 우리 민족의 의지와 노력은 날로 커졌고, 강인한 생명력의 무궁화가 당시 우리나라의 상황과 닮아 민족을 상징하는 꽃이 됐어요. 수민 학생기자가 “우리 민족이 무궁화를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요?”라고 물었죠. “독립운동가들은 강연 때마다 ‘무궁화 삼천리 우리 강산’을 말했어요. 독립군들의 군가 가사에는 ‘무궁화’ ‘무궁화동산’ ‘무궁화 강산’ 등 조국을 무궁화로 지칭하는 표현이 등장해요. 특히 민중계몽교육을 펼치며 독립운동에 참여한 남궁억(1863~1939) 선생은 13송이의 무궁화가 한반도를 수놓은 자수 도안을 고안했고, 고향인 강원도 홍천군 모곡리의 모곡학교 뒤뜰에 8만 그루의 무궁화 묘목을 길러 전국에 보급했어요. 하지만 일제는 1933년 이 묘목들을 불태워 버리고 남궁억 선생을 체포해요. 이른바 ’무궁화 사건’입니다.”
국회 휘장(왼쪽 사진)의 무궁화 꽃잎 선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국민과 국회가 소통하는 의미를 강조한다. 무궁화를 사용한 나라문장은 대통령표창장·국가공무원신분증 등에 사용된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무궁화를 ‘나라꽃’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어요. 1949년 대통령 휘장과 행정부·입법부·사법부 휘장을 모두 무궁화로 도안했죠. 1950년 태극기 깃봉을 무궁화 꽃봉오리로 제정했고, 1963년부터 태극기와 무궁화를 기초로 한 ‘나라문장(우리나라 대표 마크)’을 만들었어요. 소중 학생기자단이 전시물 중에서 훈장 하나를 발견했어요. “국민훈장에는 우리나라를 뜻하는 무궁화 문양이 들어가요. 이 훈장은 정치·경제·사회·교육·학술분야 유공자가 받는 국민훈장 중 3등급에 해당하는 동백장이죠. 우리나라 최고 훈장인 무궁화대훈장의 이름엔 ‘무궁화’가 쓰였고, 건국훈장에는 우리나라 번영을 뜻하는 무궁화 엽환(잎 고리)이 있죠.”
1970년대 청소년 만화 『무궁화꽃』 표지(윗줄 맨 왼쪽), 1970~90년대 버스 토큰과 공중전화카드(아랫줄 맨 왼쪽) 등 무궁화는 실생활에서도 많이 쓰였다.
2층에선 실생활에 사용된 무궁화 관련 전시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66년부터 한국은행에서 발행된 1원 동전 뒷면에는 무궁화가 그려졌어요. 할아버지·할머니 세대는 1원 동전을 많이 사용했을 거예요.” 소중 학생기자단은 “1원 동전은 처음 봐요”라며 신기해했죠. 1970~90년대 사용된 버스 토큰과 공중전화카드에도 무궁화 문양과 그림이 있습니다. 당시에는 현금과 함께 버스 승차권의 일종인 토큰으로 버스를 이용했죠. 공중전화는 지금도 동전과 함께 공중전화카드로 이용할 수 있어요.
수아 학생기자가 “생활용품에 왜 무궁화가 들어갔나요”라고 질문했죠. “물건에 무궁화 그림이나 문양을 넣어 민족정신을 고취하고 무궁화가 나라꽃이라는 걸 알리는 등의 의도가 담겼어요.” 이외에도 무궁화 문양 자수를 수놓은 한복, 우정사업본부에서 발행한 무궁화 우표, 무궁화 그림이 그려진 1980~90년대 중학교 도덕 및 초등학교 사회과부도 교과서도 전시됐죠. 수민 학생기자는 “주변에서 무궁화 관련 물건을 본 기억이 없어요. 앞으로 무궁화 문양과 그림이 그려진 물건이 많아지면 관심이 커질 것 같아요”라고 말했어요.
안수민(왼쪽)·오수아 학생기자가 콜마 무궁화 역사문화관에서 ‘나라꽃’ 무궁화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알아봤다.
무궁화는 헌법상 공식적인 ‘대한민국 국화(國華)’는 아닙니다. 하지만 행정안전부는 무궁화를 태극기·애국가·국새 등과 함께 ‘국가상징’ 중 하나로 소개해요. 관습상 나라꽃이자 국가상징인 무궁화를 국화로 만들기 위한 법 제정 운동이 진행 중이라 콜마 무궁화 역사문화관에서도 관련 서명 운동을 합니다. 산림청은 나라꽃으로 여기지는 무궁화의 체계적인 보급·관리를 위해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8년부터 5년마다 ‘무궁화 진흥계획’을 수립·시행해 무궁화를 심고 있죠. “무궁화는 오랜 시간 우리 민족과 함께했어요. 사람들이 민족의 영광과 수난을 같이한 나라꽃 무궁화를 더욱 사랑하고 관심을 가지면 좋겠어요.”
이번 취재는 무궁화에 관련된 여러 가지 흥미로운 전시물을 볼 수 있어서 정말 좋았어요. 콜마 무궁화 역사문화관에 다녀온 후 제 마음에 무궁화가 활짝 피었답니다. 장래희망이 디자이너인데 아름답고 긴 역사를 가진 무궁화를 멋지게 디자인해 전 세계에 알리고 싶어요. 취재를 마치고 무궁화 화분을 선물 받았는데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키워야겠다고 다짐했어요. 소중 친구들도 콜마 무궁화 역사문화관을 방문해 무궁화에 대해 꼭 알아보길 바라요.
안수민(서울 동호초 5) 학생기자
자세히 알지 못하던 무궁화의 소중함을 취재하면서 깨닫게 됐어요. 무궁화 하면 떠오르는 남궁억 선생님에 대해서 배우고, 무궁화 특징도 알게 됐답니다. 특히 콜마 무궁화 역사문화관에 전시된 무궁화 자수가 새겨진 한복이 정말 아름다워서 인상 깊게 남았어요. 콜마 무궁화 역사문화관을 더 많은 사람이 방문해 무궁화 정신과 가치를 알아줬으면 좋겠습니다.
오수아(경기도 하랑초 5) 학생기자
글=박경희 기자 park.kyunghee@joongang.co.kr, 사진=이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