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홍어정식

목포 홍어정식/김준

목포 홍어정식/김준


김준 전남대 학술연구교수

홍어로 얼마나 어떤 음식을 만들 수 있을까. 홍어삼합은 기본이고, 홍어애국·홍어전·홍어무침·홍어묵·홍어찜·홍어비빔밥 등 끝없이 없다.
간단한 식사만을 원한다면 홍어애국이나 홍어비빔밥도 좋다.
목포 음식을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 홍어정식을 권한다.
삼합, 홍어무침, 홍어전, 홍어묵 그리고 홍어애국에 솥밥까지 더해진다.

홍어는 홍어목 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이다.
최근 흑산도, 군산, 대청도, 울릉도 일대에서 잡히는 홍어가 같은 유전자 정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서식 환경에 따라 채색과 무늬가 조금씩 다를 뿐 모두 참홍어다.
그리고 간재미. 갱개미, 가오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던 것들은 표준명을 ‘홍어’로 통일했다.
그래도 목포 상인들은 참홍어를 흑산도산, 전라도산, 군산산, 인천산 등 지역으로 구분한다.
어느 지역이든 좋은 참홍어를 잡으면 목포로 보낸다.
좋은 값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참홍어는 ‘걸낙’이라는 낚시로 잡는 방법과 그물로 잡는 방법이 있다.
이는 어획량뿐만 아니라 음식 맛에도 영향을 미친다.
걸낙 방식이 참홍어 숙성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란다.
신안과 목포 일대에서는 대부분 걸낙으로 잡는다.
흑산도 홍어잡이가 국가 중요 어업 유산으로 지정된 이유다.
게다가 같은 홍어삼합이라도 목포의 삭힘 기술과 전라도 묵은 김치의 깊은 맛은 특별하다.
홍어가 목포 음식으로 자리를 잡은 이유다.

홍어잡이 어구 ‘걸낙’

홍어잡이 어구 ‘걸낙’

정약전이 기록한 홍어 장수 문순득의 표류기 ‘표해시말’에서 보듯이 전라도에서는 오래전부터 홍어를 중요한 식재료로 이용했다.
정조는 정승 채제공에게 대홍어 한 마리를 선물하기도 했다.
전라도에서 대소사에 홍어가 올라가야 음식을 잘 차렸다는 말이 허투루 생겨난 것이 아니다.
맛도 좋지만 이제는 자원 관리에도 애써야 할 것 같다.
참홍어는 산란 양도 적고 부화 기간이 길어 남획 시 개체군 회복 속도가 느리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도 참홍어 보전 상태를 ‘위기’로 평가했다.

정조가 채제공에게 대홍어를 선물한 기록 ‘채제공 하선장’(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정조가 채제공에게 대홍어를 선물한 기록 ‘채제공 하선장’(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초고령사회 첫해, '이기적 결정' 하라는 원로 제안

연명의료 등록자는 큰 폭 증가
존엄하고 아름다운 마무리 위해
장례 등 스스로 결정할 일 많아
"나를 위한 결정, 가족·사회에 좋아"

2023년 10월 13일 오후 서울 삼성동 강남힐링센터에서 참석자들이 웰다잉 특강 도중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법을 배우고 있다.<BR> /오종찬 기자

2023년 10월 13일 오후 서울 삼성동 강남힐링센터에서 참석자들이 웰다잉 특강 도중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법을 배우고 있다.
/오종찬 기자

지난해 봄 고향에 내려가니 팔순이 넘은 부모님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서명했다고 알려주셨다.
이 문제에 대해 말씀드린 적이 없는데 어떻게 참여했는지 궁금했다.
자주 가는 마을회관, 게이트볼장에서 편안한 임종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퍼진 모양이었다.
자식들에게 알리는 것도 상담 과정에서 교육받은 것 같았다.
그 얘기를 듣고 떠오른 여러 생각 중엔 크지는 않지만 뭔가 부담 하나를 던 것 같은 느낌도 있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나중에 아파서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됐을 때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착용 등 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는 뜻을 미리 밝혀두는 문서다.
연명의료관리기관에 따르면 2018년 연명의료제도 시행 이후 지난 11월까지 사전의향서 등록자는 267만여 명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배우자와 가족 등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존엄하게 죽음을 맞는 것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 의료 현장에서 연명의료를 중단한 환자 수도 2023년 7만여 명으로, 2019년 대비 50% 가까이 증가했다.

최근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 중 65세 이상이 1024만명을 넘고 비율도 20%를 넘었다.
2025년 올해가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 첫해인 셈이다.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여러 제도 중 하나인 연명의료제도는 그나마 순조롭게 정착하고 있는 것 같다.

2016년 연명의료결정법 제정은 원혜영 의원 등이 주도한 것이다.
원 의원은 2020년 20대 국회를 끝으로 정계를 은퇴한 다음 웰다잉문화운동 대표를 맡는 등 ‘웰다잉 전도사’로 변신했다.

그는 연명의료결정법 제정에 참여하면서 삶을 아름답게 마무리하기 위해 스스로 결정해야 할 일들이 연명의료 외에도 많다는 것을 알았다고 했다.
상속, 장례 절차 등에 대한 뜻을 정확하게 밝히는 유언장 쓰기도 필요하고, 호스피스 완화 치료 등 임종 직전 어떤 치료와 의료적 돌봄을 받을지에 대해서도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자신의 삶을 정리하는 ‘인생노트’를 써보는 것도 좋고, 생전 장례식이나 이별 파티 등 내가 원하는 추모 방식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도 의미 있다고 했다.
원 대표는 이런 일들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으면 병원이, 법원이, 장례업체가 결정하게 된다며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라고 했다.

물론 초고령사회에 아직도 높은 노인 빈곤을 낮추는 일, 아픈 노인을 치료하고 간병하는 일, 고령자에게 적절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일은 중요하다.
이런 일에는 지금도 기초연금, 건강보험, 노인 일자리 사업 등 형태로 수십조원씩을 투입하고 있다.

반면 원 대표가 하는 일의 공통점은 약간의 홍보·교육 예산 말고는 정부 예산이 거의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개인과 사회 부담을 엄청 줄일 수 있다.
한 해 사망자가 30만명인데 연명의료에 드는 비용이 한 명당 2000만~3000만원이다.
10만명만 연명의료를 중단해도 2조~3조원의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치매 증가에 따라 더 늦기 전에 정비가 필요한 후견(後見)제도, 유산기부 등도 사회 부담과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제도다.

원 대표는 최근 낸 책 ‘마지막 이기적 결정’에서 인생의 마지막을 결정할 때 이기적으로 하라고 했다.
“결국 나를 위한 이기적 결정이 사랑하는 가족과 이 사회를 위하는 가장 ‘이타적인 결정’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의 작은 소망은 많은 사람들이 생전 장례식에 관심을 갖고 실천할 때 자신이 컨설팅하는 것이라고 했다.
행사 사회를 볼 용의도 있다고 했다.
보타이를 매고 생전 장례식 사회를 보는 원 대표 모습을 떠올려본다.

급하니까 한국인입니다만

일러스트=Midjourney·조선디자인랩

일러스트=Midjourney·조선디자인랩

나는 한국인이다.
나를 한국인으로 정의하는 요소는 많다.
거의 매일 김치를 먹는다.
외국인이 한국인을 놀릴 때 “너희는 김치를 매일 먹냐?”고 묻곤 한다.
대부분 한국인은 담담하게 “응” 하고 답할 것이다.
김치 맛있게 먹겠다고 김치냉장고도 발명한 종족이다.
피에도 김치 국물이 흐른다.

더는 김치만으로 한국인을 정의할 수 없다.
색목인 유튜버도 김치 담그는 법을 영상으로 만드는 시대다.
나를 한국인으로 정의하는 요소는 따로 있다.
엘리베이터 사용법이다.
한국인은 닫힘 버튼 누르는 쾌감에 중독된 사람들이다.
계기판 근처 사람에게는 헌법에는 없는 의무도 주어진다.
빠르게 닫힘 버튼 누르는 의무다.

층을 잘못 누르면 다시 눌러 취소하는 기능도 한국의 특징 중 하나다.
해외, 특히 서양에서는 이런 기능을 가진 엘리베이터를 찾기가 여전히 쉽지 않다.
역시 한국인의 급한 성격이 대중화한 기술이다.
이 나라에서는 뭐든 빨라야 한다.
뭐든 빨리 해결해야 한다.

며칠 전 엘리베이터에서 대결이 벌어졌다.
문이 닫히는 순간 누군가 헐레벌떡 문을 다시 열고 탔다.
그는 내가 눌러 놓은 층 버튼을 눌렀다.
다시 누르니 당연히 취소됐다.
나는 다시 버튼을 눌렀다.
동시에 그도 다시 버튼을 눌렀다.
성격 급한 한국인이 양쪽 계기판을 점령한 채 리셋 전투를 벌였다.
한국은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끼리 속도 경쟁을 하며 서로를 닦달하느라 진을 빼는 나라다.
나는 워털루에서 패배한 나폴레옹 심정으로 그에게 통제를 허락했다.
‘백 년 평화’를 위한 결단이었다.

2025년 내 목표는 하나다.
급한 성격을 버리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버튼에서 손을 떼는 것에서 시작하겠다.
완료 3초 전 전자레인지 멈춤 버튼을 누르는 한국인 고유의 전통도 버릴 생각이다.
나는 2분을 꽉 채워서 데운 컵라면을 먹어본 기억이 없다.
1분 57초 데운 컵라면 맛밖에 모른다.
3초만 더 데워도 컵라면은 더 맛있을 것이다.


댓글 쓰기

Welcome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