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원활한 독립적 일상생활
② 양호한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능력과 스스로 느끼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노년기 삶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준 교수 연구팀은 65세 이상 노인 4317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해 노인의 삶의 질을 평가한 연구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진은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는 측정 도구인 ‘EQ-5D’를 통해 노인의 운동,
자기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편감,
우울·불안 등 5가지 영역에 걸쳐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했다.
연구 결과,
노인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일상 활동의 독립적 수행’이 꼽혔다.
네트워크 분석은 ‘노드’라 부르는 각 요소 사이의 연결망을 분석해 어떤 요소가 가장 중심되는 요인인지를 평가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가장 중심성이 높은 노드로 해당 요소가 지목됐다.
전홍준 교수는 “연구 결과는 노인의 삶에서 일상 활동의 독립적 수행이 얼마나 원활한가에 따라 다른 요소들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노인이 일상생활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전체적인 삶의 질을 향상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 요인 중에서는 ‘스스로 느끼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수,
경제적 수준,
교육 수준,
음주나 흡연,
운동,
스트레스 등 여러 외부 요인을 함께 분석 대상에 포함해 나온 결론이다.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삶의 질과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노인 복지 및 건강관리 정책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될 것”이라며 “노인들이 건강관리 전략을 스스로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photo. Pixabay
식후 2분에서 5분 정도만 햇빛을 받으며 산책하는 것이 혈당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햇빛을 받으며 걷는 것은 건강한 생활습관의 기초 중 하나다.
꾸준한 양질의 산책은 뼈를 튼튼하게 하고,
뇌 건강을 증진시키며,
치매와 우울증을 예방한다.
여기에 혈당 조절 효과도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스포츠의학저널에 발표된 아일랜드 리머릭 대학 연구 결과,
식사 후 2분에서 5분 정도만 걷는 것만으로도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하루 종일 간헐적으로 서서 휴식을 취하면 장시간 앉아 있는 것에 비해 포도당이 평균 9.51% 감소했다.
하지만 하루 종일 간헐적으로 가벼운 강도로 걸으면 장시간 앉아 있는 것에 비해 포도당이 평균 17.01% 감소했다.
연구팀은 앉아서,
서서,
걷는 것이 몸의 인슐린과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7개의 연구를 메타분석했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하루 종일 20분에서 30분 간격으로 2분에서 5분 동안 서있거나 걷도록 했다.
그 결과 식사 후 바로 앉아 일하는 것보단 서 있는 것이 나았지만,
혈류 속의 인슐린을
낮추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식사 후 잠깐 산책을 가면 혈당 수치가 점점 상승하고 하락하며 서있거나 앉아있는 것보다 인슐린 수치가 더 안정적이었다고 연구는 지적했다.
혈당 수치는 식사 후 60~90분 이내에 치솟기 때문에 식사를 마친 후 바로 움직이는 것이 최선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하루종일 몸을 우믹이며 신체활동하는 것은 사망 위험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일주일에 150분 정도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전체 원인 사망 위험이
33% 낮다"고 지적했다.
연구 결과,
답글삭제노인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일상 활동의 독립적 수행’이 꼽혔다.
네트워크 분석은 ‘노드’라 부르는 각 요소 사이의 연결망을 분석해 어떤 요소가 가장 중심되는 요인인지를 평가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가장 중심성이 높은 노드로 해당 요소가 지목됐다.
전홍준 교수는 “연구 결과는 노인의 삶에서 일상 활동의 독립적 수행이 얼마나 원활한가에 따라 다른 요소들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노인이 일상생활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전체적인 삶의 질을 향상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