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과 중성화가 연결되는구나? 응. 각 지자체에서 중성화를 많이 지원하고 있어. 다른 나라의 경우 등록제를 운영하면서 중성화를 하면 일정 비용을 빼주는 식으로 장려하기도 하고. 등록들을 하고 중성화를 해야 개가 귀해지는 거고 보호가 되니까. 지금은 마당개라고 아무렇게나 낳아서 버리는 경우가 많잖아.
그럼 고양이는? 개 말고 고양이에게도 세금을 물려야 할까? 해외에서는 보유세를 주로 개에게 적용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고양이는 등록 의무 대상도 아니고. 고양이에 대해서도 장차 등록 의무 논의가 있어야겠지만, 지금은 일단 개부터도 등록이 안 되고 있는 상황이니까. 조금 먼 얘기긴 하지.
️고양이세를 물리는 나라가 있긴 있어? 응.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벨기에, 스위스의 일부 지역에선 그러기도 해.
️고양이는 집에만 있는데 개랑 똑같이 세금 내면 억울하단 의견도 있던데? 그 말도 맞긴 맞아. 그러니까 공론의 장에서 여러 이야기를 디테일하게 해야 세금이 현실화할 수 있을 거야. 갈 길이 멀어.
️거북이는? 도마뱀은? 끝도 없는 거 아냐? 지금 멸종 위기종은 이동, 거래, 번식에 대해 법에서 정해놓았지만 그게 아닌 다른 동물은 딱히 정해진 게 없거든. 근데 이에 대해서도 앞으로 논의가 필요한 게, 예를 들면 라쿤 있잖아. 외래 야생 생물인데, 요즘 반려 목적으로 많이 키우거든? 근데 유기되면, 누가 키우다 버렸는지 알 수 없게 돼. 미어캣도 그렇고.
️야생 생물을 버리면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거 아냐? 당연하지. 버려지면 살아남기도 너무 힘들고. 그러니까 이런 외래 야생 생물도 다 등록을 해야 한다, 그래야 유기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데, 제도적으로 뭐가 없는 상황.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들도 많이 찬성하던데? 어깨 좀 펴고 싶다는 입장이 많더라고. 세금 내면서 떳떳하게 반려동물과 함께 인프라를 누리고 싶다! 차라리 세금 내고 권리를 주장하겠다! 이런 입장. 또 동물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니까 동물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살기를 원한다, 동물 학대에도 정부가 더 나설 수 있길 바란다는 거고. 금액과 같은 디테일을 살펴봐야 하겠지만.
️금액? 1년에 1만~2만원이면 크게 부담 없겠지만, 해외처럼 10만~20만원 선이면 부담스러울 수도 있거든. 정기적으로 내야 하니까.
️그 부담 때문에, 유기견이 더 많아질 거란 의견도 있더라. 아무래도 초반에는 그럴 수 있어. 이미 의료비를 비롯해 반려동물을 키우는 데 드는 비용이 적지 않잖아. 그런데 세금까진 생각 못 했다, 하면서 초반에는 그럴 수도 있는데.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이제 더더욱 책임감 있는 보호자만 키우는 거니까, 유기동물이 더 늘진 않을 거야.
️누가 반대해? 일단 번식업, 판매업 하는 사람들은 반대하지. 반려동물에 세금이 생기면 판매가 줄 테니까. 펫숍이나 번식장 등 공급자들도 그런 입장이 많고.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들 중에서도 돈을 거둬들여서 정부가 어디에 쓸 것이냐? 과연 제대로 사용될까? 측면에서 우려가 많아. 안 그래도 지금 세금 내는 거 많은데 이것까지 내야 하냐? 이런 의견도 당연히 있고.
️넌 찬성? 반대? 난 찬성. 다만 모든 동물에게서 시작하는 건 무리가 있으니 개부터 하자. 개는 인간과 굉장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다른 동물보다 누리고 있는 게 더 있으니 일단 시범적으로 개에 대해 도입을 검토해보자. 하지만 급하게 할 게 아니라 차근차근.
️세금을 물리려면 법을 바꿔야 해? 응. 지금은 근거 조항이 없기 때문에 법을 만들든 바꾸든 해야 해. 이때 동물에 대한 개념 자체도 바뀌어야 할 테고. 지금은 반려동물이 민법상 물건이지 생명력을 가진 주체로 보지 않아. 세금을 매기는 건 우리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의미가 있잖아. 그만큼 동물의 사회적 지위나 위상을 높이는 과정이 동반돼야 하겠지.
️함께 사는 존재니까. 응. 이제 정말 많~이 키우잖아. 국민의 3분의 1은 동물을 키워.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 그런데 유기동물 문제든 인프라 구성이든 제대로 안 해 놓으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사람에게 공격성을 보일 수도 있고. 이미 함께 사는 구성원이 된 만큼, 함께 잘 살 방법을 찾긴 해야 해. 세금 논의는 그 연장 선상에서 꼼꼼히 진행돼야 할 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