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테랑 언론인들이 오늘 신문을 리뷰하고, 맥락과 관점을 더해 전합니다. | |
한동훈? 윤석열? 김건희?… 특검법 수용 누가 결단해야 하나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모두 발언하고 있다. 뉴스1 민주당이 14일 김건희 특검법 수정안을 다시 낸다고 발표했다. 수사 대상을 기존의 14개에서 두 가지로 축소하고, 특검 추천을 제3자가 하게 하겠다고 한다. 동아일보도 사설에서 “여(與)도 협상 나서라”고 촉구하는 등 일부 여론의 변화 조짐도 보인다. 그러나 여당은 노림수가 있다고 보고 일축했다. 중앙일보와 조선일보도 사설을 쓰지 않고, 기사도 크게 다루지 않았다 여권을 갈라치려는 의도 먹힐까 민주당은 ‘김건희 특검법’을 세 번째 추진한다. 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이용해 일방적으로 특검법을 통과시키고,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고, 국회는 재표결을 한 뒤 폐기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해왔다. 이번에는 여권이 문제 삼아온 핵심 두 가지 부분을 고쳐“여권 내 균열을 노리고 있다”고 조선일보는 지적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도 “(수사 범위 축소 등은)민주당의 말뿐”이라며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한 대표는 지난달 21일 윤 대통령을 면담한 자리에서 “여론 상황이 더 악화되면 김건희 특검법을 더 막기 어려운 상황이 올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여론의 추이를 더 지켜봐야 한다는 말이다 삼권 분립과 일사부재리에 위반되나 윤 대통령은 7일 기자회견에서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두 가지 문제를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명백하게 자유 민주주의 국가들의 삼권 분립 체계를 위반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특검 후보를 야당이 추천하고, 이를 대통령이 임명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그 후보가 특검이 되도록 규정했었다. 특검을 임명하는 대통령의 권한을 국회가 침해했다는 지적이다. 윤 대통령은 “어떤 검사에게 사건을 배당할 것이냐 하는 것은 헌법의 삼권분립의 본질인 행정권의 고유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임명 부분만 제외하면 특검은 대통령제의 모범인 미국에서도 하고 있는 제도다. 윤 대통령은 또 “일사부재리 원칙에 따라 한 번 털고 간 사건을 반복하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김 여사의 주가 조작 의혹 등을 철저히 수사했는데, 왜 다시 꺼내느냐는 말이다. 그러나 특검이란 게 본래 검찰이 수사해서 미진한 것을 수사하는 것 아닌가. 행정부에 속한 검찰이 수사를 잘못했다는 전제다. 그 검찰이 문재인 정부이건, 윤석열 정부이건 상관없다 국민의힘 당사를 쑥대밭으로 만든다? 한동훈 대표도 아직 민주당의 ‘김건희 특검법’을 반대한다. 논리는 윤 대통령과 다르다. 그는 수사 범위 축소가 “민주당의 말뿐”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김 여사가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에 관여한 의혹, 명태균 씨와 관련해 경선 관여와 불법 여론조사 의혹 두 가지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특검법에는 ‘위의 수사 중 인지된 사건’이라는 말이 포함돼 있다. 수사 중 얼마든지 다른 사건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한 대표 측 인사는 “당 대표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길이 열린다”면서 “국민의힘 당사를 쑥대밭으로 만들겠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특검을 사실상 민주당이 직접 임명하는 부분만 고치면 이 의혹도 사라진다. 특검을 임명하는 이유가 검찰이 수사하기 어려운 권력 주변 수사를 하자는 건데, 그걸 문제삼을 순 없다. 수정안에서 특검은 “대법원장이 4명 추천하고, 야당이 그들을 다시 2명으로 압축해 행정부로 넘기면 대통령이 임명하게 했다. 그러나 대법원장 추천이 부적합하면 민주당이 재 추천을 요구할 수 있도록 ‘야당 비토권’을 넣었다. 결단을 피할 수 없는 코너로 몰리고 있다 민주당이 합리적인 안을 내놓으면 한동훈 대표는 점점 곤혹스러워진다. 한 대표는 출사표에서 특검 추진을 약속했기 때문이다. 그가 윤 대통령에게 지적했듯이 여론이 더 쏠리면 반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 대표는 특검에는 입을 다물고, 특별감찰관 임명을 밀어붙인다. 그러나 특별감찰관은 예방적 조치다. 이미 벌어진 일들을 처리할 수 없다. 강제 수사권도 없다.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은 바닥이다. 그 이유로 김건희 여사가 첫 번째로 꼽힌다. 김 여사 문제를 풀지 않고는 국정이 한 걸음도 나아갈 수 없는 상황이다.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김 여사 의혹 해소는 국정 운영 정상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가 됐다”, “특감이 국민 눈높이인가”라며 한 대표를 겨냥했다. 한국일보 사설은 “야(野) ‘김 여사 특검법 수정안’, 여(與) 회피 명분 없다”라고 지적했고, 동아일보 사설도 “이제 여당도 자체안을 만들어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세계일보는 “‘무조건 특검’을 외치는 것은 다분히 윤 대통령의 탄핵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며 “윤 대통령 지지율이 10%대로 떨어졌다고 해서 국민이 탄핵까지 찬성할지는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임기가 반환점을 돌았다. 지지율은 참담하다. 국정 동력이 고갈됐다. 시간만 보내며 임기를 끝낼 게 아니라면 전기를 만들어야 한다. 버티기로 무한 악순환할 수는 없다. 왜, 무엇을 위해 정치를 하는지를 생각하라. 그러면 그 결정은 누가 해야 하나? 한동훈 대표? 여권 분열의 책임을 뒤집어쓰고, ‘배신자 프레임’에 갇힐 수 있다. 윤 대통령? 그럴 결단력과 힘이 있는지 의심스럽다. 결국 김 여사가 결단해야 한다. 본인도 살고, 대통령도 살릴 길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