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는 그의 '관점주의'로 아무도 자신의 관점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객관성을 '무관심한 성찰'로 생각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입니다. 지식은 우리의 주관적 관점을 부정하는 데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 관점들 사이의 차이점을 평가하는 데서 나옵니다.
객관적인 진실이 존재하는가? 그리고 생물학적으로 제한된 인간으로서 우리는 그것에 대해 무엇이든 알 수 있는가?
철학자들은 수천 년 동안 이런 문제에 대해 논쟁해 왔지만, 객관적 진실의 영역, 즉 단일하고 보편적인 현실이 존재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습니다.
우리가 실제로 이 영역 에 접근 할 수 있는지는 또 다른 문제지만, 이러한 상식적인 관점에서 보면 객관적 진실은 인간이 생각하거나 생각할 수 있는 것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합니다.
한편에는 진실 , 즉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이 있습니다. 다른 한편에는 진실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지식을 형성하려는 우리가 있습니다.
철학자 힐러리 퍼트넘은 그의 저서 『이성, 진실, 역사』 에서 이 입장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철학, 과학, 관습에 스며드는 동안, 19세기에 프리드리히 니체가 나타나 파티를 망쳤습니다. 니체는 유명한 격언에서 "사실은 없다"고 선언했습니다. "해석만 있을 뿐이다."
다른 곳에서 니체는 "진실은 환상이며 우리는 그것이 환상이라는 것을 잊었다"고 언급합니다.
그렇다면 니체는 여기서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그는 객관적 진실, 즉 참된 현실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하고 있을까? 그는 진실이 상대적이라고 암시하고 있을까? 그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프로타고라스의 유명한 도발, "인간은 모든 것의 척도"를 지지할까?
이는 실제로 니체에 대한 많은 포스트모더니즘 해석이 주장하는 바와 같습니다.
니체의 폭넓은 사상의 맥락에서 벗어난 위와 같은 인용문은 니체의 이름을 객관적 진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견해와 연관시킵니다. 즉, '좋음'과 '나쁨', '진실'과 '거짓'은 모두 상대적이며 문화, 심리생물학, 환경과 같은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니체의 이름은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자주 언급됩니다. 즉, '객관성'에 호소하는 것은 항상 결함이 있고, 모든 지식(그리고 세상 자체)은 단순한 개념적 구성물에 불과하며 좁은 인간 경험 밖에서는 정확성이나 관련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이성과 논리 자체는 그것들이 사용되는 지적 전통 내에서만 유효하다는 것입니다.
비평가들은 이런 극단적인 상대주의는 모든 지식의 근원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위험하다고 반박한다.
진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옳고 그름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이 없다면 어떻게 한 견해를 다른 견해보다 더 잘 판단할 수 있겠습니까?
생물학, 화학, 의학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보다 자격을 갖춘 의사의 의견을 왜 믿어야 합니까? 그런 전문가들이 배우고 훈련하는 모든 것이 궁극적으로 진실에 대한 주장이 없다면, 왜 '전문가'를 믿어야 합니까?
니체는 어떻게 그런 질문에 답할 수 있을까? 글쎄요, 그의 작품이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적이고 상대주의적인 견해를 불러일으킨 이유를 알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겠지만, 학자들은 대체로 니체가 진실에 대해 단순히 그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는 것보다 더 흥미로운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합니다.
실제로 니체가 진실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듯한 태도는 예리한 사상가에게는 너무나 직설적인 견해처럼 들린다.
오랜 세월 학자들은 니체가 우리가 이 장을 시작할 때 제시한 격언보다 훨씬 더 미묘하고 섬세한 진실 설명을 제공했다고 해석해 왔습니다.
이 설명은 니체의 관점주의 로 알려지게 되었고, 그것이 실제로 무엇을 수반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의견 불일치가 있지만, 우리가 그 장면을 설정할 수 있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진실, 주관성, 객관성에 대한 질문이 흥미롭다면 니체의 관점주의에 대한 저의 심층 분석을 계속 읽어보세요. 그리고 학자들이 니체의 관점주의가 철학에 가장 오래 지속되고 영향력 있는 기여 중 하나라는 데 동의하는 이유를 여기서 확인하세요.
(저는 보통 일요일 휴식 시간에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읽어보라고 하지 않지만, 이번에는 평소보다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려고 거기에 올려두었습니다... 안전벨트를 매세요!)
다 읽고 나면 돌아와서 생각을 알려주세요. 여러분의 생각을 알려주는 몇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 세상이 실제로 존재하는 참된 방식이 있을까? 있다면, 개가 보는 세상과 사람이 보는 세상 중 어느 것이 더 참된가?
- 만약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가질 수 있는 궁극적인 기준이 없다면, 어떤 관점이 더 정확한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 당신은 니체가 무관심한 '무(無)에서의 관점'이라는 개념이 터무니없다고 말한 데 동의하십니까?
- 니체가 '보는 것'과 '아는 것'을 비교한 것은 타당한가? 즉, 지식에서 관점을 벗겨내는 것은 보는 것에서 관점을 벗겨내는 것만큼 일관성이 없는 개념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은가?
- '관점'으로 간주되는 것은 무엇인가? 인지적 관심사인가? 감각적 능력인가? 심리적 추진력과 동기인가? 위의 모든 것?
- 니체의 포스트모더니즘 해석은 실행 가능한가?
- 니체의 관점주의는 우리의 존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 진실은 생각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가?
- 언어 없이 진실이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