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안 듣는 청소년? 훈계 말고 질문을 하라

 



말 안 듣는 청소년? 훈계 말고 질문을 하라

①흡연은 암을 유발한다.
②흡연은 치아를 누렇게 만든다.
③흡연은 섹시하지 않다.”

1998년 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청소년 흡연 예방 캠페인에 나서면서 홍보대행사에 이 세 가지 메시지를 넣으라고 주문했습니다. 금연을 해야만 하는 ‘합리적’인 이유를 나열한 겁니다. 캠페인 전문가 알렉스 보거스키는 다르게 생각했습니다. “그런 전략은 100% 실패할 것이다.”


“10대들이 흡연하는 것은 담배의 해악을 몰라서가 아니다. 어른스럽고 멋있게 보이기를 원해서다”라는 게 그의 생각이었습니다. “어른스러움에 대한 욕망을 채워줘야 캠페인이 효과를 볼 것이다.” 그는 “10대들을 꼬드겨 치명적 중독에 빠뜨리려는 탐욕스러운 담배회사에 맞서 싸우라”고 청소년들을 독려하는 금연광고 시리즈 ‘진실’을 만들었고, 10대 흡연율을 크게(28%→6%) 낮추는 성공을 거뒀습니다.  

미국 텍사스오스틴대 심리학과 교수인 데이비드 예거는 최근 낸 저서 <어른의 영향력(원제 10 to 25: The Science of Motivating Young People, 어크로스 펴냄)>에서 “청소년의 행동 변화를 끌어내는 건 재미나 호기심, 위협이 아니라 지위와 존중”이라고 일깨웁니다. “사춘기에 접어드는 10세부터 25세까지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이 풍부하게 분비되고, 뇌 발달도 가속도가 붙는다.”

이 시기에 인간의 뇌는 자부심, 찬사, 존중 같은 사회적 보상을 갈망하고, 굴욕이나 수치 같은 사회적 고통을 극도로 혐오한답니다. 자식이나 제자들에게 ‘잘되라고’ 하는 조언의 대가로 돌아오는 게 반항인 경우가 빈번한 이유입니다. “어른들의 유익한 조언이 청소년들에게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고, 세대 갈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예거 교수는 청소년을 대하는 어른(리더)의 유형을 ‘강요자’와 ‘보호자’ ‘멘토’ 세 가지로 나눕니다. 강요자 유형은 ‘뛰어난 인재가 되려면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며 지원해주는 것 없이 높은 기준만 제시합니다. 보호자 유형은 ’달성하기 어려운 기준을 제시하는 건 잔인한 일‘이라고 여기며 정당한 성취보다 자존감 향상을 우선시합니다. 멘토는 높은 기준을 제시하되 상대를 믿고 존중하면서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예컨대 제출받은 보고서에 보완을 요구할 때 “내 기준이 무척 높고, 네가 그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피드백 이유를 명시하면 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실험 결과 교사로부터 기대와 조력을 암시한 피드백을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보고서를 다시 수정해 온 비율이 두 배 높았답니다. “지시하지 말고 질문을 던지되, 피드백의 의도와 목적을 분명하게 밝히라.”

미국 프로농구(NBA)의 슈팅코치 칩 엥겔랜드가 그런 유형의 대표적 지도자로 꼽힙니다. 그는 NBA 팀 샌안토니오 스퍼스에서 17년 동안 코치로 일하며 토니 파커, 거와이 레너드 등 전설적인 선수들의 슛을 개선했습니다. 깐깐했지만 어린 선수들이라고 무시하지 않았고, 전체를 수정하기보다 사소할 수도 있는 세세한 부분만을 콕 집어서 고쳐줬습니다. NBA 사상 최고의 공수겸장 플레이이로 불리는 레너드에게는 공을 던질 때의 릴리스 포인트를, 셰인 베티에(통산 8408득점 기록)에게는 공을 쥘 때 손가락 위치를 바꾸도록 조언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선수들의 자율성을 존중했고, “그는 슈팅코치 이상이다. 농구계의 심리학자”(셰인 베티에)라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경제사회연구원 고문

이학영 드림



  “현명한 대답을 원한다면 합리적인 질문을 하라”라는 괴테의 명언처럼 질문은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 질문은 정답을 알려주기보다 정답을 스스로 깨닫게 한다. 하지만 많은 대학생들은 강의 도중 질문을 하지 않는다. 질문하기 어려워하는 대학생들을 위해 질문을 하기 위한 방법과 질문이 가진 힘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에서 공부를 하다가 외국으로 유학을 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직면하는 어려움은 바로 ‘질문’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주로 질문을 하면 “수업의 흐름을 끊는다”는 지적을 듣고 “개인적으로 질문하라”는 소리를 듣는다. 또한 입시나 취업을 위한 수단으로서 학교가 존재하고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질문을 통해서 자신이 모르는 부분을 드러내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모든 수업의 방식이 암기식 학습과 주입식 교육이다. 따라서 시험을 잘 보기 위한 공부, 암기식 공부가 보편화되어 있어 혼자 공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입시를 위한 공부를 했던 학생들은 대학에 진학해서도 혼자 공부하는 경향이 많다. 그룹스터디를 하게 되면 많은 사실을 알게 되지만 대학의 시험조차 범위가 정해져 있고 암기 위주이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혼자서 공부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나라들의 수업 방식은 어떨까? 대개는 토론식 수업, 발표식 수업으로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마음껏 말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질문을 하는 것에 대한 눈치를 주지 않고 질문으로 인해 수업의 질이 향상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결국 이러한 사고의 차이가 서로 다른 수업의 환경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교류가 활발한 것으로 알려진 수업방식은 인도의 ‘하브루타’이다. 유대인들의 탈무드를 공부하는 방식으로 질문을 할 수 있는 환경과 토론을 하는 환경을 조성해 개개인 스스로 답을 찾도록 도와준다. 이 수업방식은 토론의 승패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견을 충분히 말하고 경청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학생들의 태도 또한 다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교수의 말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 열심히 필기를 한다. 필기에서 놓친 부분이 있다면 서로를 견제하며 필기를 공유한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모습과는 다르게 미국의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수업의 흐름을 주도한다.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차이가 수업의 흐름을 바꾼 것이다.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토론을 하고 자신의 의견을 나눈다면 그 수업은 수동적이고 서로를 견제하는 수업이 아닌 타인으로부터 배우는 기회가 생기는 수업이 된다. 따라서 수업에 조금이나마 적극성을 가지고 임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질문의 효과

  질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양하다.

  첫째, 질문을 통해 학습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 학습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이 학습을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질문을 통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얻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자신에게 질문할 경우 학습의 효과가 현저히 올라간다고 한다.

  둘째, 질문을 통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인간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부정적인 질문보다는 긍정적인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마음을 상하지 않게 하는 우회적인 질문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동시에 친근해지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셋째, 자신에게 지속적으로 질문하며 자신을 성장시킬 수도 있다. 하루에 자신이 지키고자 하는 질문들을 상정해 하루가 끝날 때 자신에게 다시 묻고 이를 지켰다면 자신만의 상을, 지키지 못했다면 자신만의 벌을 주며 자신을 더욱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넷째, 꾸준한 질문 즉 호기심은 지식을 풍부하게 해준다. 인류 최고의 질문이 ‘왜?’라는 말처럼 모든 것에 대해 ‘왜?’라고 궁금해 하고, 질문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동시에 그 질문들의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은 어느새 그 답을 찾고, 지식의 폭을 넓혀갈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질문은 다른 사람의 의도를 파악하고, 숨은 정보들을 찾아내도록 한다. 자신이 아는 것을 되묻는 것을 넘어서 자신이 모르는 것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질문은 이를 통해 숨어 있는 인과관계를 찾게 해준다. 결국 우리는 질문을 통해 더 나은 학업성취를 이룰 수 있다.
 

효과적으로 질문하는 법

  질문을 하기 전에 우리는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할지 생각해야 한다.

  첫째, 질문의 대상을 적절히 선정해야 한다. 나이가 많고 대단한 사람이 아닐지라도 자신이 생각하기에 질문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알고 있는 사람에게 질문을 해야 한다.

  둘째, 질문의 대상을 정하면 적절한 타이밍이 중요하다. 상대방이 바쁘거나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아플 때는 되도록 제외해야 한다. 또한 상대의 스케줄을 미리 파악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상대방이 나에게 집중하기 좋은 시간대에 질문을 하자.

  셋째, 상대방에게 질문을 하기 전에 자신의 질문을 다시 검토하라. 질문이 모호하면 자칫 질문의 본질을 흐릴 수 있고 상대방이 대답하기 곤란할 수 있다. 선택형 질문을 준비한다면 상대방으로부터 만족스러운 답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선택형 질문과 더불어 ‘당신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요?’라는 질문을 통해 문제에 대한 상대방의 의견을 알아볼 수 있다. 의견을 통해서 상대방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부정형 질문보단 긍정형 질문을 해라. 인간의 심리는 상대의 질문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긍정적 질문이 더욱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우호적인 답변을 통해서 우리는 더욱 심층적인 질문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질문법

  소크라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제자들을 가르칠 때 질문법을 강조했다. 질문법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교수법의 하나로 특히 소크라테스 시대부터는 질문법이 수업의 기법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질문법은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 학생의 질문에 대한 교사의 답변이라는 과정을 거친다. 질문법은 현대에서도 모든 지도형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국내 교육과정에도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인터뷰 - 강은경 메디컬캠퍼스 교수학습개발센터 직원

질문을 하면 어떤 좋은 점이 있나요

  최근 교육 이론이 학생을 질문 대상이 아닌 ‘질문하는 존재’로 보고 있다. 질문은 수업 측면에서 학생들의 자신감이 향상시키고 수업에 질적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아는 것이 힘이다’의 근본은 질문에서 나온다. 질문은 문제를 해결하고 지혜와 답을 가져다준다.

질문하는 습관을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모든 일에 호기심, 궁금증을 느껴야 한다. 내가 알지 못하는 무엇인가를 알고 싶은 감정이 질문의 시작이다. 좋은 질문을 통해 학습이 끝나도 ‘마음에 남아 있는’ 질문이 제시되어야 하듯 집중하는 경청자와 공감하는 질문자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질문하기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조언해 주신다면

  질문은 대부분 ‘공공의 시간’에서만 질문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 많게는 수백 번 질문을 하고 또 그것에 대한 대답을 하며 하루를 살아간다. 질문의 가치는 그것을 끌어내는 답변의 가치와 같듯 경청을 통해 질문을 시작하고, 질문을 통해 경청을 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질문을 통해 학생 학업성취와 동기 및 자신감을 향상시키며 서로 존중하고 공동의 목표에 대해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질문을 통해 답을 얻어가는 과정이다.

이연수·손명준·정현빈 기자 gc5994@daum.net


댓글 쓰기

Welcome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