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른 고령화 시대… 실버세대 新 주거 시설이 뜬다

 

가파른 고령화 시대… 실버세대 新 주거 시설이 뜬다

주목받는 ‘시니어 하우징’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이달 하순 입주하는 시니어타운 ‘평창카운티’ 전용 43㎡ 주택 내부. 거실 겸 주방,

침실. 화장실이 있어 1~2인 고령 가구가 생활하기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급격한 고령화로 시니어타운 수요가 늘면서 관련 시설 개발에 뛰어드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KB골든라이프케어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평창동 지상 5층 건물. 실내로 들어가자 유리로 만든 4단 조명과 금색 계단 손잡이가 눈에 들어왔다.

아치형 기둥과 몰딩을 적용해 중세 유럽 건물처럼 보였다.

이달 하순 입주하는 시니어타운 ‘평창카운티’다.

KB금융이 자회사인 KB골든라이프케어를 통해 선보이는 1호 시니어타운이다.

2006년 노인주거시설 겸 어린이집 용도로 지었다가 이지스자산운용이 인수해 리모델링한 것이다.

보증금 3000만원에 월세(관리비 포함)는 290만~457만원선이다.

KB 관계자는 “방문자들의 절반 정도가 계약의사를 밝혔다”면서 “보증금만 수억원대인 다른 실버타운보다 저렴하고 보기 드물게 서울 도심에 있다는 점에서 수요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급격한 인구 고령화로 이른바 시니어타운 수요가 급증하면서 실버세대를 겨냥한 부동산 개발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건설회사는 물론 금융기관,

유통회사,

호텔까지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수요가 폭발하는데 공급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분석한다.

그래픽=양인성

◇급증하는 고령인구…제대로 된 시설없어

올 9월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국내 고령인구 비율은 2023년 18.4%에서 2025년 20.6%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2035년 30.1%를 거쳐 2050년엔 40.1%에 달할 전망이다.

문제는 고령 인구가 급증하는데 이들이 살만한 제대로 된 시니어 레지던스 공급은 거의 없다는 것. 실제로 노인복지주택(시니어 레지던스)은 2018년 35곳에서 지난해 38곳으로,

5년간 고작 3곳 늘어나는데 그쳤다.

올해 말부터 2025년까지 입주할 시니어 레지던스도 인천 서구의 ‘더 시그넘하우스 청라’(139실),

서울 강서구 ‘VL르웨스트’(810실) 등 총 1600여실에 불과하다.

이렇다보니 시설 수준과 서비스가 뛰어난 서울 도심과 수도권 시니어타운에는 입주자가 줄을 서고 있다.

서울 광진구 자양동 ‘더클래식500′은 보증금만 9억원을 내야 하는데도 입주하려면 2~3년씩 기다려야 한다.

서울 강남구 자곡동에 있는 ‘시그넘하우스’도 작은 방(전용 11~18㎡)은 최소 6개월,

큰 방(21~24㎡)은 1년쯤 대기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버타운 대기 수요가 생기는 이유는 뭘까. 고령자가 입주할만한 주거시설이 마땅치 않은 탓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 노인 요양시설은 낡았고 여가 시설도 전무하다”면서 “4인실이나 6인실로 구성돼 사생활 보호도 힘들다”고 했다.

선호도가 떨어지면서 전국 양로시설은 2018년 238곳에서 지난해 180곳으로 5년간 25%쯤 줄었다.

◇금융기관,

호텔도 시니어 하우징 눈독

시니어타운 수요가 늘면서 건설업계는 물론 금융기관,

호텔 등도 시니어 부동산 개발에 눈을 돌리고 있다.

평창카운티도 이지스자산운용이 KB골든라이프케어와 제휴해 만들었다.

KB금융은 2025년까지 시니어타운 3개를 더 개발할 계획이다.

신한금융도 신한라이프생명을 통해 실버산업 진출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은 기존 ‘메이필드호텔 스쿨’ 운영을 중단하고 그 자리에 시니어타운을 짓기로 했다.

이르면 내년 2~3월 착공할 예정이다.

유통 대기업인 신세계도 이달 초 신세계프라퍼티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실버 주거를 결합한 신사업 구상을 발표했다.

KB라이프생명 관계자는 “금융사와 호텔,

신탁회사,

시행사 등이 시니어 주거 산업에 동시 다발적으로 뛰어들고 있다”고 했다.

◇”신기술 활용한 시니어 타운 나올 것”

업계에서는 시니어 하우징 시장이 확산하면서 서비스와 시설 수준도 더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10여년 전만해도 시니어타운은 아파트에서는 볼 수 없던 식사 서비스,

피트니스클럽,

사우나,

수영장 등을 선보였다.

심우정 실버산업전문가포럼 회장은 “자율주행로봇이 거동이 불편한 입주자에게 식사를 배달하는 서비스도 등장할 것”이라며 “IT(정보기술)·의료·여가·주거가 결합한 신개념 시니어 주거 시설이 빠른 속도로 확산할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시니어타운 공급 확대를 위한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어린이집처럼 시니어 레지던스 운영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면 공급이 늘어날 수 있다”면서 “수요가 집중된 서울 등 대도시에 중산층용 실버타운 건설을 촉진하기 위해 입지 규제를 완화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현역땐 잘 나갔는데...” 노후에 가난해진 사람들의 3가지 특징 [왕개미연구소]

파산자 10명 중 4명이 60대 이상

노후 생활비 月500만원 세팅법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 이연주

“밖에 나가면 다 돈인데,

그렇다고 안방에서 맨날 넷플릭스 보면서 집밥만 먹을 순 없고...”

고물가·고금리 쓰나미가 몰아치면서 은퇴를 앞둔 사람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가계 생활비가 무섭게 오르는 상황에서 노후 자금은 얼마나 준비해야 충분할지 걱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60세가 되면 소득이 끊기기 때문에 가계 손익 구조는 마이너스(-)로 바뀐다.

고물가 장기화가 더해지면서 고령 세대의 살림살이는 예전보다 더 팍팍해졌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생애주기적자’ 추이를 봐도,

61세에 시작된 적자 인생은 죽을 때까지 이어진다.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더 많기 때문이다<아래 그림 참고>.

적자 절벽에서 살아남지 못한 고령자들은 파산 법원으로 향한다.

법원행정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법원에 접수된 개인 파산 신청자 10명 중 4명(41%)은 60세 이상이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파산 신청자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올해 최대 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다.

현역 시절엔 잘 나가다가 나이 들어 가난해진 사람들에겐 어떤 문제점이 있었을까. 무엇이 황금빛 노후와 잿빛 노후를 가른 걸까. 전문가들은 노후가 고달파진 사람들에게 공통점이 있다고 말한다.

조선일보 [왕개미연구소]가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의 분석을 토대로 노후 파산 예비군의 특징 3가지를 정리해 봤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정다운

1️⃣은퇴했는데 생활 씀씀이 그대로

은퇴 부부가 도시에서 살려면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 이달 초 본지가 SM C&C 설문 조사 플랫폼인 ‘틸리언 프로’에 의뢰해 설문을 진행했더니,

20~60대 남녀 응답자 1584명의 42%가 월 평균 300만원이라고 답했다.

그 다음 많았던 응답은 월 평균 500만원으로,

전체의 30% 정도였다.

‘월 700 이상 필요하다’는 응답자도 전체 응답자의 13%에 달했다.

사실 예상 노후 생활비가 300만원이든,

500만원이든,

700만원이든,

소득이 이보다 더 많다면 자산 감소는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은퇴 후 소득은 직장 다닐 때에 비해 눈에 띄게 줄어든다.

소득이 줄었는데 소비 습관을 바꾸지 못한다면,

통장 잔고는 금방 바닥나고 만다.

김동엽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상무는 “소득이 줄어들면 그에 맞춰 씀씀이도 줄여야 하지만 한 번 높아진 소비 수준은 낮아지기 힘들고 가족들 저항도 커서 생각처럼 쉽지 않다”면서 “은퇴가 임박했다면 온 가족이 한마음으로 덜 쓰고 불편하게 살면서 짐을 줄이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인대국 일본에서 한때 ‘버리는 즐거움’을 의미하는 단샤리(断捨離)가 유행이었던 것도 실은 고령화와 연관이 있다.

사전 예습하듯,

은퇴 전에 현재 생활비보다 적은 예산으로 생활하는 것을 시도해 보면 좋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정다운

2️⃣소파와 한몸 등 불량한 생활 습관

‘죽기 전 10년은 앓다가 간다’,

‘평생 의료비의 절반은 70세 이후에 쓴다’...

나이가 들면 돋보기,

보청기,

틀니,

지팡이,

약봉지가 일상이 된다.

아프면 서럽다지만,

더 큰 문제는 질병으로 인해 파생되는 삶의 질 저하다.

타인의 도움이 필요해지는 상황이 닥치면 더 실감한다.

특히 간병비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서 사비로 충당해야 하는데,

최근 인건비 상승으로 월 300만~400만원이 드는 경우가 태반이다.

얼마나 오래 아플지,

간병비는 언제까지 나갈지,

이런 모든 일정이 불확실하다는 것도 문제다.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된 일본에서도 병원 신세를 지는 노인들이 의료와 요양에 노후 자금을 쏟아부으면서 ‘간병파산’ 위험에 직면했다.

노후에는 건강을 잘 지키기만 해도 흑자 인생을 보낼 수 있다.

건강이 곧 돈이기 때문이다.

음주,

야식,

흡연,

과식,

소파와 한몸 등과 같은 나쁜 생활 습관은 건강을 해치며 노후 파산의 원인이 된다.

사랑하는 자녀에게 부모 부양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주지 않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 본인 건강 관리다.

평소엔 잊기 쉽지만 치아 관리에도 힘써야 한다.

치아가 부실하면 먹는 즐거움이 사라지고 식욕 저하로 만성적 영양 불량 상태에 빠지기 쉽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정다운

3️⃣퇴직금으로 인생 역전에 베팅

“일흔 넘으면 힘 빠져서 돈 쓸 일도 별로 없을 텐데요.”

노후 준비를 소홀히 하는 사람들의 변명은 이런 식이다.

하지만 노년기에는 노부모 간병,

자녀 지원,

배우자 병환,

주택 수리 등 오히려 예상치 못했던 목돈 지출이 발생하기 쉽다.

이런 돌발 상황에 대비하려면 통장이 필요하다.

‘잔고가 바닥나면 일하면 되잖아’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건강이 나빠져서 예전처럼 돈을 벌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젊었을 때 모아둘 걸’이라고 후회하지 않으려면 저축하는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

지금 벌고 있는 소득은 20~30년 후에 소득이 없을 내 자신과 배우자가 쓸 소중한 씨앗이다.

나중에 퇴직금을 받을 테니까 저축은 필요 없다는 생각도 위험하다.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아서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 투자하겠다는 유혹도 생길 수 있지만,

성급히 결정하면 나중에 후회하기 쉽다.

나이 들어서 투자에 실패하면 젊을 때처럼 패자부활전이 어렵다.

‘힘들게 번 퇴직금은 놀리지 마세요~’라고 접근하는 사람은 100% 사기꾼이라고 생각하자. 퇴직금은 일시금이 아니라 연금 형태로 받아야 절세 효과(퇴직소득세 30% 경감)도 있어 유리하다.

노년기에 투자를 하고 싶다면 미국 등 글로벌 우량지수(S&P500,

나스닥 등)에 연동되는 대표 금융상품에 한정하고,

여행·취미 등에 쓰는 돈도 예산 내에서 쓰는 게 좋다.

관련 기사

아내,자식,부모... 은퇴하면 누구랑 살 때 더 행복할까 [왕개미연구소]

“퇴직하면 뭘 하지?” 80대 선배들이 알려준 지금 해야 할 3가지 [행복한 노후 탐구]

마지막으로 황혼의 나이에 무조건적인 자녀 지원은 독(毒)이 될 수 있다.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했다고 해서 계속 퍼주면 내 노후가 먼저 무너진다.

‘자식에게 한 푼도 안 주면 맞아 죽지만,

다 주면 굶어 죽고,

반만 주면 무서워 죽는다’는 말은 우스갯소리이지만,

속에 뼈가 있다.

정년까지 10년 남은 40~60대의 노후 대비 저축 금액은 월 100만원이 가장 많았다(27%). 그 다음으로는 50만원(16%),

30만원(14.7%),

150만원(12.1%) 순이었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정다운

✅노후 파산 피하는 방법은

“손주들 용돈도 주고 아내와 해외 여행도 하려면 노후에 월 500 정도는 필요할 것 같아요. 그런데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니까 저는 65세에 받을 연금이 현재 가치로 180만원 정도더군요. 이걸로는 부족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중견기업 50대 유부장)

최근 은퇴 준비 트렌드에도 고물가 변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몇 년 전만 해도 도시에 사는 노부부 노후 생활비로 300만원 정도면 충분하다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지금은 500만원 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달 초 조선일보·틸리언프로 설문 조사에서도 도시에 사는 노부부의 노후 생활비로 월 500만원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이 10명 중 3명꼴이었다.

노후 생활비로 월 500만원 받는 황금 황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조선일보 경제부의 공식 유튜브 채널인 머니TV가 7분30초짜리 속성 강의를 마련했다.

조선닷컴에선 여기를,

네이버·다음 등 포털에서는 사이트 주소(https://cutt.ly/pwAW1te4)를 복사해서 주소창에 입력하면 바로 볼 수 있다.

아들아, 아빠 새 차 뽑았다… 6070이 변했다

일·여가에 모두 진심인 중장년들

그래픽=박상훈

24만7407대 vs 20만5040대.

올해 1~11월 국내에서 60,

70대와 30대가 구매한 신차 숫자다.

은퇴 세대인 6070 세대가 사회생활을 막 시작한 30대보다 신차를 많이 산다는 얘기다.

불과 10년 전인 2014년 60~70대의 신차 구매는 13만3723대로 30대(29만2318대)의 절반이 채 안 됐지만 10년 만에 정반대로 변한 셈이다.

자동차 시장 조사 업체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가 관련 세부 자료를 수집한 2010년 이후 처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는 노년층이 늘고 30대가 줄어드는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구조 변화 탓도 있지만,

노후에도 더 일하고 활발하게 여가를 즐기는 ‘액티브 시니어’의 등장과 관계가 깊다는 분석이다.

자영업이나 은퇴 후 귀농 준비,

여행이나 문화 생활을 위해 지갑을 여는 장년층이 그만큼 늘었다는 뜻이다.

◇더 일하고, 더 즐기는 액티브 시니어

자동차 시장은 액티브 시니어의 씀씀이 변화가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곳이다.

전통적으로 6070은 차량 구매가 많지 않고 산다 해도 그랜저 같은 세단이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올해 60~70대가 가장 많이 산 차량은 포터(2만2312대)였다.

봉고도 1만1166대로 4위에 올랐다.

은퇴 후 자영업을 시작하거나 귀농하는 이들의 구매 패턴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비임금 근로자(자영업자+무급 가족 종사자) 중 60세 이상은 260만7000명으로 전체의 38.8%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7만명 이상 늘어난 수치다.

늘어난 여가 생활로 SUV의 인기도 크게 높아졌다.

60~70세대에선 포터에 이어 기아 SUV 쏘렌토(1만1962대)가 판매 2위를 기록했고,

5위는 현대차 SUV 투싼(1만222대)이었다.

서울의 한 차량 딜러는 “세단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에다 캠핑과 같은 여행이나 여가를 즐기기에도 좋아 SUV를 찾는 장년층이 많다”고 했다.

실제 BC카드에 따르면 올해 60세 이상 고객 수는 2018년보다 7.3%포인트 늘었고 이들 결제액은 8.5%포인트 증가했다.

이들의 결제액 중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은 여행(94.5%)과 면세점(83.5%)이었다.

이런 소비 패턴에 자동차 업계에선 시니어 맞춤형 마케팅도 늘고 있다.

현대차는 노년 주인공을 광고 모델로 등장시키고 ‘제2의 청춘 카’라는 문구를 내세우는가 하면,

기아는 60세 이상이 차를 사면 건강검진권을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도 했다.

◇6070 강세는 당분간 이어질 듯

젊은 층은 줄고 노년층은 늘어나는 인구 구조를 감안할 때 이런 차량 소비 패턴은 세태로 굳어질 가능성이 크다.

통계청에 따르면 30대 인구는 지난 2013년 803만5971명(15.9%)에서 올해 680만6073명(13.2%)으로 줄었다.

반면 60대와 70대는 올해 각각 752만5799명(14.6%),

388만3720명(7.5%)으로 10년 전인 435만8060명(8.6%),

289만2923(5.9%)보다 크게 증가했다.

30대는 과거에 차량 소비를 이끌었지만,

첫 직장 평균 입사 시기가 점점 늦어지는 데다 주거 마련을 위한 ‘영끌’ 등에 힘을 쏟으면서 여유가 사라졌다.

실제 30대 이하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9.6%에 이른다.

댓글 쓰기

Welcome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