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사람의 몫을 남겨두라


  

뒷사람의 몫을 남겨두라 [고두현의 아침 시편]

난을 가꾸는 뜻

정섭

구 원(畹) 넓이 난초 가꾼 강변 텃밭
팔 원(畹)만 그리고 다 마치지 못하였네.

세상만사 만족스러운 때 언제 있었더냐
나머지 가꾸는 일은 뒤에 오는 사람의 몫.

八畹蘭

九畹蘭花江上田, 寫來八畹未成全.

世間萬事何時足, 留取栽培待後賢.


시서화에 뛰어났던 청나라 시인 정섭(鄭燮,
1693~1765)의 시입니다.


“대나무를 그리면서 벌과 나비가 수선 떠는 것을 피하려 꽃을 그리지 않았다”던 그의 성정이 그대로 드러난 작품이죠.이 시에 나오는 구원(九畹)은 초나라 시인 굴원의 난초밭 넓이를 말합니다.
시인은 구원 중에서 팔원만 그리고 나머지는 뒤에 오는 사람의 몫으로 남겨놓는다고 노래합니다.
완전무결한 결과만을 추구하는 게 아니라 그 과정에서의 배움,
또는 덕성을 중요히 여기라는 뜻이기도 하지요.
누구나 무슨 일을 할 때 완결을 목표로 하지만 미완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과 지상주의 사회에서는 더욱 성과에 집착하게 되죠. 그렇다 보니 과정의 정당성과 노력의 가치보다 요령과 편법이 우대받는 현상까지 생깁니다.

많은 사람을 감동케 한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이 떠오릅니다.
알다시피 이 영화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의 눈물겨운 이야기를 다룬 것이지요.
결과 지상주의의 관점에서 볼 때 이들에게 메달의 가능성은 없어 보였습니다.
이미 은퇴하여 아줌마가 다 된 선수들을 불러 모아 급조한 팀인데다,
국가대표 선수라고는 하지만 일당이 2만원밖에 안 되는 열악한 조건이었기 때문이죠.
그러나 이들은 최종 결승전까지 진출했습니다.
연장에 연장을 거듭하며 혈투를 벌인 끝에 은메달을 따냈을 때 사람들은 열광했습니다.
영화에서는 눈물을 흘리는 선수들에게 감독이 “울지 말자”고 말합니다.
울 이유가 없었던 것입니다.
메달보다 그 과정이 소중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지요.
역사 속에서도 실패한 인물이 오히려 많은 사람의 기억에 남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갈공명은 뛰어난 지략과 병법으로 수많은 적군을 물리쳤지만 결국 사마의에게 졌습니다.
그러나 역사는 사마의보다 제갈공명을 더 기억합니다.
한때 로마를 위협하고 지중해 최강자로 군림했던 한니발 역시 패장이었지만,
사람들은 그를 굴복시킨 로마의 스키피오 장군보다 그를 더 명장(名將)으로 기억합니다.
이들이 마지막 결과보다 그 과정에서 보여준 리더십과 삶의 가치가 돋보였기 때문입니다.
개인의 과업도 마찬가지죠.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대로 수행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는 클 수밖에 없습니다.
덕을 쌓는 것에 끝이 없듯,
미완에 그치더라도 가치 있는 노력의 의미는 빛납니다.
그것은 지금 당장이 아니라 ‘뒤에 오는 사람’들이 평가할 몫이기 때문이지요.


롱펠로에게 배우는 노년의 지혜

나이 든 이가 보내는 경외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초서는 우드스톡에서 꾀꼬리를 곁에 두고
예순에 캔터베리 이야기를 썼지.
괴테는 바이마르에서 뼈를 깎는 노력으로
여든에 파우스트를 완성했고.
( …중략… )
우리에겐 아직 할 일이 남아 있네.
비록 차려입은 옷은 다르지만
노년은 젊음에 못지않은 기회인 것을,
저녁 어스름이 옅어져 가면
낮에는 보이지 않던 별들이 가득하다네.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1807~1882)의 이 시를 읽다가 마지막 5행에 밑줄을 그었습니다.

‘비록 차려입은 옷은 다르지만/ 노년은 젊음에 못지않은 기회’라는 구절과 ‘저녁 어스름이 옅어져 가면/ 낮에는 보이지 않던 별들이 가득하다’는 대목에는 두 번씩 줄을 그었죠. 원래는 엄청나게 긴 시인데,
그중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앞부분에 나오듯이 영국 시인 제프리 초서는 예순에 최고 걸작 <캔터베리 이야기>를 썼고,
독일 문호 괴테는 여든에 <파우스트>를 완성했지요.
조각가 미켈란젤로는 팔순을 넘기면서 성베드로 성당 천장을 어떻게 완성할지 고민했고,
화가 파블로 피카소는 아흔에도 작품 활동을 했습니다.
‘첼로의 성자’ 파블로 카잘스는 90세에 하루 6시간씩 연습하며 “난 지금도 조금씩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62세에 ‘지동설’을 확립한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68세에 ‘대성당’을 조각한 오귀스트 로댕,
71세에 패션계를 평정한 코코 샤넬,
62세 때 광견병 백신을 발견한 루이 파스퇴르….현대 경영학의 창시자인 피터 드러커는 93세 때 기자로부터 “언제가 인생의 전성기였는가?”라는 질문을 받고 “열심히 저술 활동을 하던 60대 후반이었다”고 답했습니다.
이들에게 나이는 숫자에 불과했습니다.
인생의 황금기는 그냥 주어지는 게 아니라 자신을 어떻게 가꾸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죠.

60~75세가 가장 빛나는 골든 에이지

스위스 베른대 연구진에 따르면 인간의 자존감은 4~11세에 높아지기 시작해서 중년까지 완만하게 상승해 60세에 최고치에 이르고,
70세까지 이를 유지하다가 서서히 낮아집니다.
신체적 자립도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는 75세부터죠.

유럽과 일본은 이를 바탕으로 고령자 기준을 75세로 잡고 있습니다.
일본 노화 연구자들은 “60~75세가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골든 에이지(golden age·황금기)”라고 평가합니다.
은퇴 직후의 이 시기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14만 시간이 넘지요.
20세부터 40년간 8시간씩 하루도 쉬지 않고 일한 노동시간(11만6000여 시간)보다 훨씬 깁니다.
우리 주변에 노년의 지혜를 일깨우는 일화가 많습니다.
몇 년 전 일본에서 경찰과 소방관 500여 명이 사흘 동안 찾지 못한 실종 아동을 30분 만에 찾아내 화제를 모은 78세 남성 오바타 씨.

그가 아이를 금방 발견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이었을까요.

자원봉사자인 그는 “애들이 길을 잃으면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습성이 있다”며 “이 점에 착안해 뒷산을 집중수색한 덕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자주 인용되는 ‘상속의 지혜’도 눈길을 끕니다.
옛적 한 노인이 소 17마리를 남기고 죽으면서 큰아들에게 2분의 1,
작은아들에게 3분의 1,

막내에게 9분의 1을 가지라고 유언했습니다.
아무리 나눠도 답이 나오지 않자 아들들은 동네 어르신에게 답을 구했지요.
그는 “1마리를 빌려줄 테니 18마리 중 각각 9마리,
6마리,
2마리를 갖고 남은 1마리는 다시 날 주게”라며 멋지게 해결해 주었습니다.
또 “두 마리 말 중 어미와 자식을 구분해 보라”는 수수께끼에 “풀을 줘서 먼저 먹는 쪽이 새끼”라고 답해 목숨을 건진 얘기 등 관련 예화는 수두룩하지요.

경험 위주의 ‘결정지능’ 좋아져

연륜이 쌓일수록 깊어지는 노년의 지혜는 어디에서 나올까요.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진이 ‘사람의 판단력은 청년기보다 노년기에 더 성숙해진다’는 사실을 임상학적으로 밝혀냈습니다.
인간의 2대 지능 중 하나는 기억 중심의 유동지능(流動知能·fluid intelligence)이고,
또 다른 하나는 경험 위주의 결정지능(結晶知能·crystallized intelligence)이지요.
유동지능은 연산·기억력 등 생래적인 것으로 한창 교육받는 젊은 시절에 활성화됩니다.
반면 결정지능은 훈련·판단 등 후천적인 것으로 사회 경험이 풍부한 노년 시기에 강화됩니다.
이것이 노인들의 의사 결정이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하지요.
할리우드 영화 ‘인턴’에서 70세의 시니어 인턴 벤(로버트 드니로)이 30세 여성 경영자 줄스(앤 해서웨이)에게 ‘멘토 역할’을 해 준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물론 나이만 들었다고 존경받는 건 아닙니다.
자칫하면 노욕(老慾)이나 노탐(老貪),
노추(老醜)에 빠질 수 있지요.
시대에 뒤떨어진 ‘꼰대’ 소리를 듣기도 합니다.
‘노인의 지혜’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지혜로운 노인’이 되려는 노력입니다.
그래야 젊은이들의 귀감이 되지요.
고대 로마 철학자 키케로는 2000년 전에 말했습니다.
“인생의 매 단계에는 고유한 특징이 있네. 소년은 미약하고,
청년은 저돌적이며,
장년은 위엄 있고,
노년은 원숙한데 이런 자질들은 제철이 돼야만 거둘 수 있는 결실과도 같은 것이라네.”


다 이룬 그 순간이 새로운 시작이다 

 

우물 속의 달

이규보

산중의 스님이 달빛을 탐하여
호리병 속에 물과 함께 길었네
절에 들어가면 깨닫게 될 것
병 기울여도 그 속에 달이 없다는 것을


詠井中月

山僧貪月色, 幷汲一甁中.
到寺方應覺, 甁傾月亦空.

고려 명문장가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시입니다.


그의 시풍은 당대 최고로 평가됐는데,
몽골군의 침입을 진정표(陳情表)로 격퇴해 더욱 유명해졌죠.청풍명월은 임자가 따로 없습니다.
누구나 마음대로 취해도 탓할 사람이 없지요.
산중의 바람이나 달은 다른 곳보다 더 맑고 밝으니 스님의 차지도 그만큼 풍족할 것입니다.
굳이 탐했다고 할 나위도 없겠네요.
그런데 스님이 우물 속에 금빛으로 넘실거리는 달빛을 병 속에 물과 함께 길었다고 했습니다.
부질없는 짓이었죠. 달빛은 절 처마 밑으로만 들어가도 비치지 않고,
병 속의 물을 다 기울여도 나올 리가 없습니다.
그것은 그저 하나의 색(色)일 뿐이지요.
하긴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이라고 했습니다.
이 시에도 ‘색’과 ‘공’이 함께 나오지요.
1구(山僧貪月色)의 마지막 글자인 ‘색’과 4구(甁傾月亦空)의 마지막 글자인 ‘공’이 색즉시공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인생이란 게 가만히 보면 ‘색’이고 ‘공’입니다.
어떤 모습을 드러내며 살더라도 죽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으니까요.
이규보는 평소에 시·술·거문고를 좋아해서 ‘삼혹호 선생’(三酷好先生)으로 불렸습니다.
워낙 술을 좋아하고 풍류를 즐겨 과거시험에는 관심도 없고 시회(詩會)에 드나드는 것에 열중해서 스무 살이 될 때까지 사마시(司馬試)에 세 번이나 낙방했지요.
자신의 호를 백운거사(白雲居士)로 바꿀 정도로 구름 속에 묻혀 있는 처지에 만족해했습니다.
산승의 작은 욕심에 빗대어 인간의 탐욕이 얼마나 덧없는지를 이야기하는 이 시는 일종의 ‘선시(禪詩)’입니다.
만년에 불교에 귀의할 정도로 선(禪)에 관심이 많았던 이규보는 스님들에게 자신의 깨달음을 시로 표현하며 가르침을 주었다고 합니다.
선종(禪宗)에서 강조하는 것이 탐욕을 버리고 마음을 비우라는 것이지요.
탐하면 병이 되고,
생각이나 어떤 틀에 얽매인다는 것 자체가 집착이라는 얘깁니다.
이규보는 22세에 장원으로 사마시에 합격한 뒤 23세에 예부시에 동진사로 급제했습니다.
생각보다 낮은 등급으로 합격하자 사퇴하려 했지만,
부친의 만류로 그럴 수 없었습니다.
과거급제를 축하하는 잔치에서 그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내가 비록 급제한 과거는 낮으나 어찌 서너 번쯤 과거의 고열관이 되어 문하생을 배출하지 못하랴.”당장의 처지가 아쉬워도 비굴하지 않겠다는 그의 의지를 보여준 일화죠. 그렇지만 그의 벼슬길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어렵게 과거에 합격해도 8년 동안 보직이 없었고,
30대가 되어서야 관직에 나아갔지만 부정한 일을 바로잡으려다 오히려 모함을 받게 되자 사직하고 말았습니다.

평탄치 않은 삶에 비해 문학적 재능이 뛰어났던 그는 인생의 덧없음과 색즉시공의 원리를 더 빨리 체득했지요.
물질적인 부와 성공을 향해 달려가더라도 결국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인데 그것에 집착한다는 것이 얼마나 허무한가를 알았던 것입니다.
집착의 끝이 공(空)임을 깨닫게 되면 눈앞의 욕심으로 그르칠 일도 없겠지요.



댓글 쓰기

Welcome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