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와 친한 어르신, 우울 증상 낮고 인지기능 높아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어르신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어르신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자기기와 친한 어르신들은 우울증 증상이 낮고 인지기능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현웅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에 담긴 7988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인의 디지털 문해력이 우울 및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정신의학의 최전선’ 9월호에 게재됐다.

디지털 문해력은 전통적으로는 컴퓨터 활용 능력을 의미했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키오스크 등 모든 디지털 전자기기 활용 능력으로 개념이 확장됐다.

연구팀은 디지털 문해력을 소통(디지털 기기 이용 메시지를 주고받는 능력),
정보(디지털 기기 이용 정보 검색 능력),
미디어(디지털 기기 이용 음악감상 및 영화시청 능력),
전자금융(디지털 기기 이용 은행 업무 및 물품 구입 능력) 등 크게 4개 범위로 나눠 분석했다.

전체 분석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3세였다.
이 중 86%는 디지털 전자금융 활용 능력 부족,
70%는 디지털 소통 능력 부족,
63%는 디지털 정보 활용 능력 부족,
60%는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 부족으로 각각 나타났다.

분석 결과 어르신의 디지털 문해력이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하고 인기기능은 높아졌다.
성별,
교육,
결혼,
직업,
취미,
흡연,
만성질환의 수 등 다른 요소를 반영한 결과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과 ‘디지털 전자금융 문해력’은 어르신의 우울을 감소시켰다.
이를 통해 인지기능까지 향상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어르신들의 디지털 교육 및 훈련이 우울증 예방 및 치료뿐 아니라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해 어르신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 활성화,
디지털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 제공,
친화적인 디지털 도구 개발,
인지기능 향상 및 우울증 관리 등을 위한 플랫폼 제공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를 이끈 노현웅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어려워하고 멀리할 수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 활용이 어르신들의 우울을 줄이고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지나친 전자기기 사용이 안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어르신들의 경우 디지털 문해력 향상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응급실 환자 사망, AI가 예측?...내년 눈길끄는 임상연구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

네이처 메디신이 의학계가 내년에 주목할 임상시험 11개를 선정했다.<BR> 사진 출처 gorodenkoff/게티이미지.

네이처 메디신이 의학계가 내년에 주목할 임상시험 11개를 선정했다.
사진 출처 gorodenkoff/게티이미지.

매년 하던 폐암 검진을 2년 주기로 해도폐암으로 인한 사망자수를 줄일 수 있을까. 인공지능(AI)은 응급병동 입원 환자가 사망할 위험을 예측할 수 있을까. 줄기세포 치료제가 파킨슨병 환자에 효과가 있을까. 이처럼 의과학자들이 궁금해하거나 질환 치료에 영향력이 클 것으로 기대되는임상연구가 2024년 조명받을 것이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은 AI 알고리즘,
면역요법,
줄기세포 치료,
염기교정 치료 등 내년 의과학 분야에서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11건의 임상시험을 7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전세계인들의 건강 상태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 기술로 주목받고 있지만 검증이 아직 이뤄지지 않은 분야들이다.
내년에 유의미한 임상시험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벤 존슨 네이처 메디신 편집장은 “AI알고리즘,
앱,
면역요법,
염기교정,
백신,
줄기세포 등 인류가 최초로 시도하고 있는 치료 방법들이 이목을 집중시킨다”며 “흥미롭지만 연구자들이 환자들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는지 확인해야 하는 연구들”이라고 말했다.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꼽히는 연구 중 하나는 AI 알고리즘 관련 연구로‘MARS-ED’라는 이름의 임상시험이다.
응급병동 입원 환자가 31일 내 사망할 위험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AI 모델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게 핵심이다.
또 다른 AI 알고리즘은 영국 6개 병원이 진행하는 연구다.
AI가 흉부 엑스선으로 폐암 종양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게 골자다.
폐암과 관련된‘4-In-THE-LUNG-RUN’이라는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연구 시작 단계에 폐에 이상이 없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2년마다 폐암 검진을 하는 것이 매년 검진을 하는 것만큼 암 사망을 막는 데 효과적인지 확인하는 임상이다.

유방암 관련 연구로는 뇌 전이가 일어난 환자와 일어나지 않은 환자 대상으로 유방암 유발 변이 유전자로 유명한 'HER2'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약물 접합체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관심을 끌 것으로 보았다.
3기 흑색종 치료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NADINA’라는 이름의 임상 연구도 주목받는다.

앱과 관련한 임상시험도 눈길을 모은다.
일반 여성들이 같은 지역사회에서 우울증을 앓고 있는 임신부들에게 앱을 이용해 인지치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평가하는 임상시험이다.
영국에서는 5세 이하 아동을 위한 일반적인 사회복지 서비스와 유아의 정신건강에 개입하는 앱 모델의 효과와 비용 효율성을 살피는 임상연구가 이뤄진다.
백신 관련 임상으로는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백신인 ‘VIR-1388’에 대한 임상시험과 생후 5~36개월 아프리카 어린이 대상으로 시행하는 말라리아 백신 임상시험이 주목된다.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도 빼놓을 수 없다.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도파민 신경세포를 50~75세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하는 임상시험이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유전자염기 교정 치료제 중에선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들의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지속적으로 낮추는 치료제로서의 DNA 염기교정 치료제 가능성을 확인하는 임상연구가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존슨 편집장은 “2024년 이뤄지는 임상연구들은 중요한 의학 문제를 다루기 위해 연구자들이 다양한 시도를 동원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연구자,
규제기관,
의료인 등이 안전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임상시험들을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초고지방식 먹은 쥐가 장수한다

GIB 제공

GIB 제공

초고지방식단을 이용해 체중을 감량하는 ‘케토제닉 다이어트’가 쥐의 수명을 늘리고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케토제닉 다이어트는 탄수화물을 줄이고 지방의 양을 늘린 식이요법이다.
지방의 이용률이 높아지면 체내에 케톤체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존 램지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분자생물학과 교수팀은 고탄수화물식,
고지방식,
그리고 전체 칼로리의 89%가 지방인 케토제닉식 등 세 가지 식단을 구성했다.
칼로리로인한 체중 증가나 수명 감소를 막기 위해 세 식단의 칼로리는 모두 동일하게 유지했다.

각각의 식단을 먹은 쥐의 수명을 조사한 결과,
케토제닉식을 먹은 쥐 그룹은 고탄수화물식 그룹보다 수명이 13.6% 늘었다.
인간에게는 7~10년 정도에 해당한다.
운동 기능도 늘었다.
줄에 매달려 있는 시간,
줄을 당기는 힘,
달리는 시간 등 운동 기능을 확인하는 모든 실험에서 케토제닉식을 먹은 쥐 그룹이 선두를 달렸다.
램지 교수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케토제닉 식단이 인간의 수명과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지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쓰기

Welcome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