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의 해독제


백영옥 소설가

중학생 때, 학교에서 아침마다 제논, 아우렐리우스, 세네카의 명상록을 틀어줬다.
문장 속에는 죽음을 늘 생각하고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고 절제하라는 권고가 가득했다.
돌아서면 배고프고 공부하기도 바쁜데 죽음을 생각하라는 말이 당시 이해되지 않았다.
하지만 몇 년 후, 당대의 거상이었던 제논이 난파한 배 때문에 한순간 재산을 잃었다는 걸 알게 됐다.
스토아 철학의 시작이 지독한 불행에 빠진 한 사람의 불안 다스리기였다는 것도.

번개로 부러진 거목은 숲지기에게 불운이지만 좋은 목재를 찾아 나선 목수에게는 행운이다.
결혼 생활 역시 지겨움으로 보면 고통이지만 익숙함으로 보면 안락함이다.
많은 일에는 관점과 해석이 있을 뿐이다.
그것이 제논이 “배는 난파했지만 항해는 성공적이었다”고 말한 힘이었다.

모든 것에 끝이 있다고 생각하는 건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승진에서 밀리고 주식이 폭락할 때마다, 가족이 불치병에 걸리는 것보다 나쁠 게 없다는 생각으로 평정심을 찾는다고 말한 사람이 있다.
그에게 스토아 철학은 불안 해독제인 셈이다.
말기 암 선고 후, 비로소 세상의 아름다움이 보였다는 환자처럼 보이지 않던 게 보이고, 들리지 않던 게 들릴 때, 우리는 세상 많은 것에 감사할 수 있다.
메멘토 모리. 삶을 알기 위해 아침마다 죽음을 묵상한 지혜로운 중세의 성직자들처럼.

무엇을 얼마나 오래 하느냐보다 중요한 건 ‘자주’ 하느냐이다.
반복이 곧 습관이기 때문이다.
천성은 바꿀 수 없다.
하지만 습관은 바꿀 수 있다.
스토아적 사고 역시 마음의 습관이다.
좋은 습관이 결국 좋은 삶이다.
폭우가 친다고, 먹구름이 꼈다고, 천둥과 번개를 지목하며 나쁜 것을 제거하려 드는 하늘은 없다.
하늘은 그저 하늘일 뿐, 날씨의 좋고 나쁨은 없다.
할 수 없는 것을 내려놓고,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할 때, 마음은 날씨를 탓하지 않는 하늘의 평정심을 닮는다.
세네카의 말처럼 중요한 건 목적지가 아니다.
그곳에 도착했을 때, 당신이 어떤 사람인가다.

인생의 맛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며칠 전, 샤인 머스캣을 먹는데 조금도 달지 않아 의아했다.
생각해보니 조금 전 디저트로 망고가 든 생크림 케이크를 먹었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내가 느끼는 세상은 상대적이다.
성과급 100만원에 뛸 듯이 기뻐하다가, 옆자리 동료의 보너스가 자기보다 두 배 많다는 사실을 알면 금세 상실감에 빠지는 게 사람이다.
어째서 우리는 이곳 아닌 저곳, 여기보다 저기를 꿈꾸는 걸까. 사람들은 대개 행복해 보이는 타인의 삶을 더 동경한다.

그러나 인생에서 단맛만 보는 삶은 극히 드물다.
10전 10승의 삶은 희귀하고, 대개의 승리란 골득실을 따지고 경우의 수를 계산해야 하는 복잡한 경우가 더 많다.
가령 어린 시절 환대만 받고 귀하게 자란 내 친구는 회사 낭인처럼 조직 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했다.
과거를 기준 삼아 일상적인 일조차 상처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반면 청년기가 힘들었던 한 친구는 웬만한 일은 과거를 생각하면 참을 만하다고 말했다.
그녀가 겪은 초년의 쓴맛이 삶에 약이 된 경우였다.

두 사람 모두에게 이미 지나간 과거지만 한 사람에겐 불행의 이유로, 다른 한 사람에겐 행복의 이유로 다가온 건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 때문이다.
우리는 과거가 고착되어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현재를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서 과거는 끊임없이 변한다.
그러므로 중요한 건 과거가 아니라, 언제나 ‘현재, 여기, 나’란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꽃은 피고 지는 시기가 제각각이다.
4월에 피는 꽃이 있고, 9월에 피는 꽃이 있다.
얼핏 비슷해 보이는 철쭉과 진달래조차 꽃과 잎이 피고 지는 순서가 다르다.
인생에는 각자에게 맞는 때가 있다.
언젠가 홍성남 신부는 “닭이 독수리가 되는 게 아니라, 갇힌 새장 속을 나와 하늘 높이 나는 게 구원”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자신이 장미가 아니라고 슬퍼할 게 아니다.
시든 장미나 말라빠진 튤립을 과연 아름답다고 말할 수 있을까. 어떤 꽃이 되느냐는 생각만큼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민들레든 나팔꽃이든 자신의 때에 맞게 활짝 피어나는 것이다.

왕관의 무게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누구에게나 때가 있다.”

판촉용으로 나누어주던 연두색 때수건에 새겨진 문구를 봤다.
사람에겐 피할 수 없는 두 가지 ‘때’가 있다.
하나는 시간, 다른 하나는 더러움을 의미하는 때다.
삶을 시간 여행으로 정의하면 우리는 이 두 가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람은 살면서 수많은 선택을 한다.
후회막심의 순간도 있지만 나라는 존재는 이전에 선택한 모든 것의 총합이며, 어른은 자신의 선택을 인정하고 책임지는 사람이다.
사람에게는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가 있다.
하지만 ‘때’를 안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다.

좋은 때에 좋은 사람이 되긴 쉽다.
본성은 고난에 빠졌을 때, 고스란히 드러난다.
워런 버핏이 “물이 빠지고 나서야 누가 발가벗고 수영했는지 알게 된다”고 말한 이유다.
이혼 숙려 기간에 재결합한 부부의 사연을 들은 적이 있다.
이혼을 요구한 아내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양육권이나 재산 분배 등 많은 걸 양보하려는 남편의 진심에 마음을 열었다고 했다.
두 사람의 시시비비가 아닌 책임져야 할 ‘아이들’에게 온전히 관점이 맞춰졌기에 가능한 결론이었다.

아이들을 국민이라 바꿔 부르면 어떨까. 자신들의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는 것보다 중요한 건 충격과 불안 속에 던져진 국민들이란 걸 다시 한번 기억하는 것 말이다.
2022년에 바이든 대통령이 윤 대통령에게 선물한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The buck stops here)’는 말은 사실 트루먼 대통령의 책상 앞에 써 있던 것이다.
부통령이었던 트루먼은 루스벨트의 죽음으로 준비 없이 대통령이 되어 전쟁과 대립의 시대에 선택의 기로에 서 있어야 했다.

왕이 되려는 자, 그 왕관의 무게를 견디라는 말은 어떤 의미인가. 트루먼은 루스벨트 시절 극비리에 진행됐던 핵 개발(맨해튼 프로젝트)이라는 자신은 전혀 알지 못했던 것들을 온전히 책임져야 했다.
자신이 한 일은 물론이고, 자신이 하지 않은 일까지도 책임져야 하는 것, 그것이 왕관의 무게다.
리더는 앞서가는 사람이 아니라 책임지는 사람이다.

완벽주의라는 덫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고2까지 전교 1등을 하던 남자가 한 번의 시험 때문에 내신이 추락한 후, 시험 공포증으로 사회 진출을 못 했다는 사연을 들었다.
글자 하나만 틀려도 새 제품을 사느라 수십 권의 쓰다 만 다이어리를 갖게 된 여자의 사연도 들었다.
이들은 자신을 완벽주의자라고 설명했다.
그들의 말이 잘 이해되지 않는 건 완벽주의에 대한 우리의 관념이 작은 것까지 신경 써 최상의 결과를 만드는 전문가의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자신을 청결 완벽주의자라고 소개한 남자의 방은 의외였다.
창틀 먼지, 손톱 위 거스러미 하나 참을 수 없다던 남자는 왜 떡진 머리로 쓰레기 방에 고립됐을까. 그는 책상 하나를 닦기도 전에 이미 지쳤다.
방 안의 먼지와 쓰레기를 완벽히 치울 자신이 없어 포기했다는 것이다.
심리학자들이 완벽주의를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정의하는 이유다.

완벽주의의 가장 큰 폐해는 실패가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이다.
시험을 보지 않으면 떨어질 일이 없고, 타석에 들어서지 않으면 삼진 아웃되는 위험은 없다.
성공의 정의가 성취로 나아가는 게 아닌, 실패를 막는 것으로 바뀌는 것이다.
완벽주의자의 또 다른 얼굴은 타인의 시도를 지적하며 자신의 결핍을 채우는 방구석 평론가다.
환경을 위해 플라스틱 사용을 자제하는 사람에게 그렇게 환경을 걱정하면서 왜 탄소 배출이 많은 비행기를 타고 여행 가느냐고 따지는 사람처럼 말이다.

완벽주의를 게으름이나 회피에 대한 방어 논리로 사용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하지만 완벽주의를 실패에 대한 불안으로 정의하면 우리의 기도는 ‘실패하지 않게 해달라’는 것이 아닌, ‘실패했을 때 다시 일어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으로 바뀔 것이다.
내가 쓰는 글 역시 완벽해서가 아니라 써가면서 점점 완성도를 높여 가는 것이다.
요리를 해본 사람은 안다.
모든 재료가 완벽하게 있어야 맛있는 음식이 되는 게 아니다.
완벽한 준비란 없다.
준비하면서 완벽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배는 항구에 있으면 안전하다.
그러나 배는 항구에 있으라고 만들어진 게 아니다.

댓글 쓰기

Welcome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