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자유를 원한다.
자유로운 존재다.
한편에서 보면, 분명 그런 것 같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당연히 자유롭기만을 원할까?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라고 자신있게 고함칠 사람이 몇명이나 될까?
<자유로부터의 도피(Escape from Freedom)>는 에리히 프롬(Erich Fromm; 1900-1980)의 글이다.
1941년에 초판이 발행되었다니까, 34년 미국 뉴욕으로 거주지를 옮긴 지 7년 후의 작업이다.
그래서 아마 영어로 쓰인 것 같다.
이 글의 핵심은 머리말에 있는 다음 문장들에 담겨 있다.
자유는, 비록 우리에게 독립과 합리성을 가져다주었지만, 우리를 고립시킴으로써 불안하고 무력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고립은 견딜 수 없는 것이어서, 우리는 자유라는 무거운 짐으로부터 도피하여 새로운 의존과 복종을 추구하느냐, 아니면 인간의 유일무이함과 개성에 기초한 적극적인 자유의 충분한 실현을 위해 전진하느냐, 이 양자택일에 직면하게 되었다.
Fromm, Erich (2013-03-25T22:58:59.000). Escape from Freedom . Open Road Media. Kindle Edition.
이 책의 내용은 하나의 예측이기보다는 진단-즉 해결보다는 오히려 분석-에 가깝지만, 독서의 결과 우리들의 행동에 하나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왜냐하면 자유를 버리고 전체주의에로 도주하려는(예컨대
히틀러 치하의 독일인들)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전체주의 세력과 싸워 승리하고자 노력하는 행동의 전제조건이기 때문이다.
자유는 생각(창공을 사뿐히 날아가는 새라고 상상)만큼 가볍지 않다.
외려 무거운 짐이다.
프롬도 하이데거도 그렇게 정리하고 있다.
어쩌면 그들이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회피하고픈
무게를 가지고 있을지 모른다.
인간은 자유를 원한다.
동시에 저주한다.
원하는 것 이상으로 무서워한다.
자유가 고대 그리스 비극 영웅들(자유로 인해 파멸했던 오이디푸스, 안티고네...)의 전유물인데 반해, 대부분의 인간은 그런 영웅이 아니다.
민주주의 정치체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이 그런 자유의 영웅이 되어야 한다.
민주주의의 어려움은 거기에 있다.
동양 사상도 마찬가지다.
지배-피지배 구조를 가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지배층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군자가 되어야 덕치주의가 성취될 수 있다.
자유든 덕이든 그것은 개인적인
편안함, 통속적으로 이해되는 행복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그것을 방해하는 장벽이다.
때문에 민주주의는 실현되기 어려운 것이다.
자유는 인간의 이상이고 목적이다.
그곳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고독과 불안이라는 황무지를 건너가야 한다.
그럴 수 있을까? 우리는 자발적으로 고난의 가시밭길을 걸어갈 수 있을까?
고독과 불안 없이 자유의 왕국에 도달할 수 있다는 생각은 한낱 '도둑놈의 심보'에 지나지 않는다.
이게 관건이다.
대부분의 현대 철학자들은 인간의 고정된 본성을 말하기 어려워한다.
프롬은 예외적인 인물이다.
그는 두 가지 변치 않는 인간 본성을 말한다.
하나는 생리적 충동을 만족시키려는
요구이고, 다른 하나는 고립과 정신적 고독(곧 자유를 말한다)을 회피하려는 요구이다.
우리는 인간 본성에 거슬러서 어느 정도까지 헤엄칠 수 있는가?
우리는
자유라는 망망대해에서
편하고 안전하게 떼 지어
누군가를 추종하지 않고,
홀로 헤엄쳐 나아갈 수 있는가?
'한국문학 거장' 황석영이 말하는 챗GPT…"챗GPT 써보니 박사급 인재 10명 두고 일하는 것 같다"
황석영 작가는 "챗GPT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질문 능력'이 중요하다"라며 "질문을 잘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콘텐츠가 있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황 작가는 24일 문화방송(MBC)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해 'AI나 챗GPT를 사용하는 유행을 따라가야 할까'라는 방청객의 질문에 "그럴 필요 없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것처럼 청소년기까지 AI, 디지털을 일단 끊어야 한다"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황 작가는 "학교에서도 그렇게 지도하고, 자기의 콘텐츠부터 채우고 나서 AI나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기를 권한다"라며 "그게 맞다고 본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황 작가는 오픈AI의 챗GPT-4 사용기를 들려줬다.
황 작가는 "(챗GPT를 써보니까) 박사 학위 10명 정도를 두고 일하는 것 같다"라며 "장길산을 쓸 때 저런 놈(?)이 있었으면 날고 기었겠다"라고
했다.
황 작가는 챗GPT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질문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석영 작가는 "자기가 읽은 독서 범위, 자기가 알고 있는 내용에 의해서 질문이 나온다.
질문이 애매모호하거나 질이 떨어질 경우 챗GPT가 거짓말로
답변한다"라며 "'너 지금 하고 있는 게 거짓말이야'라고 야단을 치면 금방 사과를 한다.
이 말은 자기 콘텐츠가 없으면 안 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황 작가는 "자기 콘텐츠가 있으려면 책을 읽어야 한다.
우리가 문장을 보거나 사물이 보이지 않는 데서 들리면, 우리 머리 속에서 이미지를 만든다.
장면을 떠올려서 소화한다"라며 "독서는 상상력을 훈련하고 자극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이야기했다.
황석영 작가는 지난 1962년 ‘입석부근(立石附近)’으로 사상계의 신인문학상에 입선해 등단했다.
황 작가는 지금까지 대하소설 '장길산'을 비롯해 장편소설,
중단편을 꾸준히 써냈다.
주요 작품으로는 삼포 가는 길, 손님, 오래된 정원, 심청, 철도원 삼대 등 다수가 있다.
오늘의 AI&IT 뉴스
"백악관 일하기에 너무 바쁘다"…트럼프, '머스크 내각 기용' 선 그었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백악관 재입성 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내각 구성에 포함시키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머스크를 발탁할 수 있다는 자신의 과거 발언을 뒤집은 것이다.
25일(현지시간) CNBC는 트럼프 전 대통령과 전 네이비실 요원 숀 라이언의 인터뷰 발췌본을 인용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머스크 CEO가 대기업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바쁜 일정으로 백악관 내각에 들어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라고 보도했다.
이어 "그를 내각에 넣고 싶지만, 솔직히 그가 맡은 모든 일을 두고 어떻게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라며 "국가와 상의하고 좋은 아이디어를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머스크 CEO를 내각 인사보다 자문 역할로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이다.
CNBC는 이번 발언을 놓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11월 대선에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꺾을 경우 머스크 CEO와 새로 구성한 동맹에서 발을 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진단했다.
불과 2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트럼프 전 대통령과 머스크 CEO는 공개적으로 서로를 비난하는 사이였다.
머스크 CEO가 정치적으로 우파 성형으로 돌아서며 두 사람 간 관계에 변화가 생겼다.
머스크 CEO는 지난달 트럼프 전 대통령을 공개 지지를 선언했고,
이에 앞서 트럼프 지지 '슈퍼팩(SuperPAC·정치후원단체)'을 구성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앞서 한 언론 인터뷰에서 머스크 CEO를 내각에 앉히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와 Q복음서
기사승인 2020.12.06 15:33:50